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3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
공학
·의학 발달의 일등공신?
과학동아
l
2017.03.11
편견이 걸림돌이 되는 예도 적지 않았습니다. 초창기 여성 과학자들은 과학과
공학
교육에 헌신했습니다. 1950년대만 해도 한국에 과학교사가 부족해 대학만 졸업하면 수업을 맡아 달라는 청탁이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이후 배출된 여성 과학자들도 연구보다는 대부분 대학에 진출해 후학을 ... ...
‘단세포 인공생명체’ 눈앞에 성큼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단세포 생물을 인공으로 만들 수 있게 된다. 조엘 베이더 미국 존스홉킨스대 생명의료
공학
과 교수팀과 제프 보크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팀이 이끈 ‘합성효모게놈(Sc2.0) 프로젝트’ 연구진은 맥주효모균(Sc)의 유전체(게놈)를 이루는 염색체 16개 전체의 합성법을 완성하고, 이 중 6개를 ... ...
‘킹콩’을 유전
공학
으로 만들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지나치게 피가 흐르는 것을 막아 높은 혈압으로부터 뇌를 지켜준다. 허재원 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국가영장류센터 선임연구원은 “신체 말단부 크기를 줄여 몸 전체를 비교적 둥근 형태로 다듬어야 한다”며 “근육 효율이나 팔다리 비율도 새롭게 고민해야 하기 때문에 모습이나 행동이 영화 속 ... ...
“육아 마치고 돌아온 과학자에겐 연구비를 줍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10
재직했다. 2007년 임페리얼칼리지런던대에 교수로 부임했고 현재 같은 대학 플라스틱전자
공학
박사교육센터(Center for Doctoral Training in Plastic Electronics) 소장을 겸하고 있다. 2009년부터 2014년까지 KAIST 초빙교수를 역임했다 ... ...
비가 와도 선명하게 볼 수 있는 차량용 카메라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9
제거하자(b-c), 카메라의 시야가 선명해졌다(d). - 명지대 제공 명지대 정상국 기계
공학
과 교수팀이 개발한 ‘스마트 빗물 제거 렌즈(MSG)’는 스스로 유리 표면에 떨어진 이물질을 제거하는 기능을 갖췄다. 차량의 전·후방카메라나 감지 카메라 등에 적용하면 언제나 선명한 영상을 제공한다. ... ...
사고 발생한 원전 내부도 관찰 가능한 ‘블랙박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3.08
초동 대응할 수 있게 됐다. 김창회 한국원자력연구원 계측제어·인간
공학
연구부장 팀은 온도가 높고 방사능 누출이 심한 환경에서도 끄떡없이 작동하는 원전용 ‘블랙박스’를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위성을 통해 멀리 떨어진 곳에서 원자력발전소 내부를 관찰하고 ... ...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
과학동아
l
2017.03.07
조나단 아르노 교수팀은 목성의 대기를 최초로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기계
공학
실험에 쓰이는 대형 회전 테이블을 이용했다. 이 장치는 1분에 120번 회전할 뿐만 아니라 1t의 무게를 견디기 때문에 많은 액체가 담긴 탱크를 빠른 속도로 돌릴 수 있다. 연구팀은 지름 1m, 높이 1.37m의 원통형 ... ...
이병권 KIST 원장 재선임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쾌거를 거뒀다. 이 원장은 서울대 화학
공학
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크론대에서 화학
공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82년 KIST에 입사해 에너지·환경연구본부장, 연구기획조정본부장, 부원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KIST 원장으로 재직 중이다. ... ...
‘공각기동대’ 사이보그 여전사, 현실에서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3
세포와 기계장치가 상호작용을 하는 것을 확인했다. 국내에선 최정우 서강대 화학생명
공학
과 교수 팀이 비슷한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진은 쥐의 심근세포를 배양한 다음 가오리와 같은 모양의 작은 로봇 뼈대에 부착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 ...
오래써도 계속 밝~은 형광등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2
일어난다. 전남대 제공 이제 이런 불편은 사라질 전망이다. 임원빈 전남대 신소재
공학
부 교수(사진)팀이 높은 온도에서 사용해도 장시간 빛의 세기를 유지하는 새로운 형광체를 개발했기 때문이다. 형광등이 어두워지는 이유는 빛을 받아 색을 변환하는 ‘형광체’가 가진 특성 때문이다.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