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이처가 올해 저널 5개나 창간한답니다과학동아 l2017.02.10
- 네이처 의생명공학은 의학과 생물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현대의생명공학의 흐름을 반영해 실험실과 병원, 그리고 산업계를 연결한다. 네이처 인간행동은 기초적인 심리학 연구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빈곤, 경제성장 등과 얽힌 인간의 대응 방식에도 주목할 계획이다. 네이처 ... ...
- 안전하면서도 까먹지 않는 비밀번호는 어떻게 만들까?동아사이언스 l2017.02.10
-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밝혔다. 알렉스 할더만 미국 미시간주립대 공학대학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전문가들은 해커의 다양한 시나리오를 모두 고려해 보안 프로그램을 만들기 때문에 가장 믿을만하다”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이런 방식은 한 번에 모든 걸 잃을 수 있다는 게 ... ...
- 빛으로 글씨 쓸 수 있는 디스플레이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10
- 남수지 선임연구원팀은 미국 일리노이대 재료공학과 심문섭 교수, 펜실베이니아대 재료공학과 오누리 연구원 등과 공동으로 외부의 빛을 감지할 수도 있는 ‘광반응 디스플레이’ 개발에 성공해 이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10일자에 발표했다. 퀀텀닷 소자로 광반응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것은 ... ...
- 무선으로 마취 심도 파악하는 기술 개발...마취 사고 막는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9
- 마취가 됐는지 무선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유회준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과 교수팀은 국내 기업 케이헬쓰웨어와 공동으로 무선으로 마취의 깊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마취심도계측기’를 개발했다고 9일(현지 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반도체 학술대회 ... ...
-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감’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09
- 진단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 개발했다(아래 사진). 지난해 3월에는 김일두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이 사람의 날숨을 통해 질병과 관련된 유기화합물 가스를 분석할 수 있는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KIST 황교선 박사팀이 개발한 바이오센서. 베타아밀로이드 같은 치매 유발 단백질이 1조 분의 1g ... ...
- 장티푸스 일으키는 세균으로 암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9
- 교수 연구진은 같은 대학 이준행 교수팀과 공동으로 살모넬라와 비브리오균을 유전공학적으로 융합한 암 치료용 박테리아 ‘ppGpp 결핍균주’ 제작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전남대 제공 살모넬라는 식중독이나 장염 등을 일으키는 세균이지만 암 조직에서 10만 배 정도 더 빠르게 증식하기 ... ...
- 알츠하이머병 쉽게 진단할 뇌 영상 기술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2.08
-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뇌 영상 분석 기술이 개발됐다.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팀은 ‘자기공명영상(MRI)’ 장비로 뇌 속에 있는 철분과 지방질의 정량적 분포를 분석해 영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뇌 안 철분과 지질 분포는 퇴행성 뇌질환의 경과를 확인하는 ... ...
- 월성 1호기 멈추나...12번 재판만에 계속운전 허가 취소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시기를 구분하는 것이 목적이다. 학술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나 원전 설계와 관련한 공학적 의미는 없다. 설계에 고려할 단층은 옥천단층 하나이며, 최대지진 평가결과 등 설계 기준 내에 있어 기준을 충족하고 있다. ● 1심 “원고 일부 승리”…논란은 계속될 전망 월성원전 내부 터빈의 모습. ... ...
- 휘어지는 기판에도 철썩...잘 달라붙는 투명전극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2.07
- IoT), 증강현실(AR) 등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건재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머리카락 1000분의 1두께의 은 나노와이어에 암실에서 사진을 찍듯 빛을 가하는 방식으로 투명전극 제작에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이 사용한 빛은 ‘플래시광’으로 자외선부터 ... ...
- 현미경+스마트폰으로 암진단까지 ‘적정기술은 변신 중’2017.02.06
- 에 비해 네팔(36명), 인도(47명), 모잠비크(71명)가 10배 이상 높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백신 보급률이 높은데도 사망률이 높은 것은 소용없는 백신을 맞았기 때문”이라며 “백신은 2~8°C의 저온으로 유지해야 하는데, 운반 단계에서 잘못 취급해 효력을 잃었을 것”이라고 ... ...
이전6736746756766776786796806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