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누로, 종이로 만든 반도체도 등장… ‘특수 반도체’ 개발 열풍동아사이언스 l2017.01.11
- 측정장비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22일엔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최양규 교수 연구팀도 ‘비누 반도체’를 선보여 화제가 됐다. 물에 던져 넣으면 빠르게 폐기할 수 있기 때문에 보안이 특히 중요한 기밀정보용 저장장치로 쓸 수 있다. 물에 쉽게 녹는 얇은 비누로 ... ...
- 빅데이터로 감염병 진단 빨라진다과학동아 l2017.01.11
- 단축시킬 수 있게 됐다. 구재형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김민수 정보통신융합공학전공 교수 연구팀은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해 RNA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환을 정밀하고 빠르게 진단하는 ‘MRPrimerV’ 데이터베이스를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핵산연구’ 온라인판 2016년 11월 30일자에 실렸다. ... ...
- 진통제도 안 듣는 만성 통증 잡을 길 열었다동아사이언스 l2017.01.10
- 밝혔다. 새로운 방식의 진통제 개발 가능성이 열렸다. 정은지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팀은 칼슘 농도의 차이에 의해 작동하는 음이온 채널 ‘아녹타민-2’가 뇌에서 통증을 인지하고 조절하는 과정을 처음으로 알아냈다고 10일 밝혔다. ☞ 음이온 채널: 음전하 이온이 드나들 수 있는 세포막의 ... ...
- [ESC의 목소리(8)] 청년 과학기술인에 대해 말한다는 것 2017.01.10
- 내려가게 됩니다. 미스매치가 일어나는 것이죠. 현재 한국에서 흡수할 수 있는 과학계 공학계 인력의 수요는 어찌보면 (A)그 한계치에 달했는지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그 (B)한계치가 의도적으로 낮춰져 있던가요. 둘 모두 문제입니다. 한계치에 달했다면(A), 1)공급을 줄여야 하거나 2)수요를 늘려야 ... ...
- [이현경의 온도차 ⑤] 굿바이, 오바마 8년의 유산동아사이언스 l2017.01.10
- 확대하고, ‘스템(STEM)’ 교육을 강화하는 것입니다. 스템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의 알파벳 첫 글자를 딴 것입니다. 이런 기조는 2009년 4월 오바마 대통령의 미국과학재단(NSF) 연설을 통해서 명확해졌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바마 정부는 8년간 상당 부분 이 ... ...
- 포드, 스마트 콤팩트 SUV '2017 뉴 쿠가' 출시포커스뉴스 l2017.01.09
- 돋보이는 후드와 다이내믹한 디자인의 육각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돋보인다. 내부는 인체공학에 기반에 설계됐으며, 최신형 인포테인먼트 싱크 3(SYNC 3®)는 최첨단 음성인식 기술과 새로운 인터페이스, 스마트폰과의 쉬운 연동 기능으로 운전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또한 SUV라는 특성에 맞게 시원한 ... ...
- “연구자 중심의 과학기술 혁신 이끌 것”...올해 과학기술 분야 정책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현재 공모 중이다. 기업 현장의 문제를 대학(원)생들이 직접 해결하도록 하는 ‘이공학 연구팀’도 신설된다. 1년간 400개 팀에 총 50억 원을 지원한다. 최 장관은 “이론이나 논문에 국한됐던 대학의 연구 환경을 기업과 연계해 외연을 확장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미래부는 이번 정권을 ... ...
- “병명도 모르는 유전질환 앓는 수현이를 위해”…생물학 ‘덕후’들의 재능기부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과장(32), 김종규 독일 막스플랑크 분자유전학연구소 및 베를린 자유대 수학 및 컴퓨터공학부 박사과정생(33) 등 3명이 희귀질환자들을 돕기 위해 2014년 5월 결성한 비영리법인이다. 모임은 우연히 시작됐다. 2014년 유튜브에서 미국 비영리법인 레어지노믹스(RG) 지미 린 회장의 강연을 본 게 ... ...
- AI 확산 막을 과학기술, 뭐가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수 있습니다. 진단 시간도 30분으로 줄어 현장에서 AI를 바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생명공학연구소도 비슷한 진단키트를 1년 안에 개발하겠다고 밝혔습니다. 3. AI 확산 패턴 예측하는 시뮬레이터 AI 발생 초기, 바이러스가 어떤 패턴으로 퍼져나갈지 예측하는 모델도 개발 중입니다. 현재 개발중인 ... ...
- KAIST 연구팀, 버벅대지 않고 전력 효율 높은 반도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2017.01.04
- 아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KAIST는 최양규 전기 및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최성진 국민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기존 반도체보다 동작 속도가 5배 빠른 신소재 반도체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진은 '탄소나노튜브(CNT)’를 여러 층으로 쌓아 이같은 성과를 ... ...
이전67767867968068168268368468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