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메리카
USA
어메리카
아메리칸
미합중국
아메리카합중국
U.S.A
d라이브러리
"
미국
"(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2 이그노벨상 - 수다쟁이 입을 막으려면?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어떨까. 으스스한 심령현상이라도 일어난 것일까. 신경과학상 수상자 크레이그 베넷
미국
캘리포니아대 심리학과 교수팀은 오늘날 뇌 활동 연구에 활발하게 사용하는 fMRI의 허점을 꼬집기 위해 이 실험을 진행했다. 더 이상 활동하지 않는 죽은 생물의 뇌라면 fMRI 촬영을 했을 때 새까맣게 나와야 ... ...
태양에서 물이 왔다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형태의 물 입자가 태양에서 왔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가 나와 주목받고 있다.양 리우
미국
테네시대 박사팀은 달에 있는 물 입자를 분석한 결과 물 입자를 이루는 수소이온은 태양풍에서 유래된 것이며 달에 충돌하는 순간 산소 입자와 결합하면서 물이 된 것 같다고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1 ... ...
순간이동 가능한 날 올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성공했다. 하지만 아주 짧은 거리에서였다. 이후 2009년 크리토퍼 문로 교수가 이끄는
미국
메릴랜드대와 미시간대 연구팀은 1m 가량의 거리에서 90%의 성공확률로 이터븀(Yb) 이온을 양자 전송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실험은 영화 ‘플라이’에서 등장한 물체의 순간이동을 연상하게 하는 놀라운 ... ...
[knowledge] 행성이 되다 만 운명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원래 모습을 간직한 지구형 원시행성일 가능성이 높았다.이를 확인하기 위해 2007년
미국
이 발사한 탐사선 던은 1년 정도 베스타 주위를 돌면서 관측했다. 그 결과 베스타가 지구형 원시행성이라는 가설을 확인했다. 달이나 다른 지구형 행성을 탐사할 때 구성 성분에 대한 사전 지식이 없었던 것과 ... ...
너 바람 폈지?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들었습니다. 다른 사람들은 이럴 때 어떻게 할까. 속이 상해 컴퓨터를 두드리고 있을 때
미국
마르켓대 연구팀의 논문이 눈에 들어왔습니다. 2008년 ‘북미심리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으로 연애 상대가 바람을 피웠을 때 어떤 상황에서 용서하고 용서를 하지 않는지를 조사했습니다. 먼저 습관적으로 ... ...
깨끗한 지구 만드는 촉매홀릭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불가능하기 때문이다.송 교수는 “우리나라는 촉매 제조 원천기술을 확보하지 못해
미국
등 선진국에 많은 대가를 지불해야 했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석유화학 공정 기술은 놀라볼 정도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특히 나노기술이 촉매에 도입되면서 기술이 보다 빨리 발전하고 있다”고 ... ...
시네마 키드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성공을 보고 결국 대중 영화 상영의 길로 돌아섰다고 해요. 게다가 에디슨의 기술자들은
미국
에서 개봉한 멜리어스의 영화를 복제해서 팔았답니다. 결국 에디슨만 돈을 벌고 애꿎은 멜리어스는 파산하고 말죠. 과동이: 불법복제는 예나 지금이나 문제군요. 그나저나 잔상효과를 이용한 소마트로프 ... ...
Part 1. 응답하라 백두여우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셈입니다. 하지만 그 이유만으로 여우가 사라진 이유를 설명하진 못합니다. 1970년대에
미국
과 캐나다에서는 매년 평균 38만 마리가 넘는 여우를 잡아들였지만 여전히 살아가고 있거든요.우리 조상들이 사라진 더 큰 이유는 1960~1980년대 있었던 쥐잡기 운동 때문이라고 해요. 쥐가 너무 많아 곡물이 ... ...
Part 2. 유기농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했다.물론 재반론도 있다. 스탠퍼드대 논문이 나오고 바로 그 날 발표된 찰스 벤브룩
미국
워싱턴대 지속가능농업및천연자원센터 교수의 논문은 “단기간의 영양 평가로 의학적으로 의미 있는 변화가 일어날 수 없다”며(스탠퍼드대 연구에는 장기 연구가 포함돼 있지 않다), “연구에 포함되지 ... ...
생쥐도 노래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미국
듀크대 연구진이 생쥐들도 실제로 노래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공공도서관학회지 ‘플로스원’ 10월 11일자에 발표했다. 지금까지 생쥐의 ‘가창력’에 대해서 밝혀진 사실은 짝짓기 상대를 유혹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정도였다. 이때 생쥐는 상대방에게 50~100kHz 대역의 ... ...
이전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6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