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화여대 뇌·인지전공장학생 정지원 - “진로 정한 뒤 ‘올인’”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냉정하게 살펴보고 면접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정신질환 단계별 구분법 개발할 것”정 씨가 뇌과학으로 진로를 정한 건 고등학생 때 읽은 기사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기사는 학교폭력 가해자가 조현병을 이유로 감형을 받으려 한다는 내용이었다. 그는 “정신질환이 있다고 ... ...
- [현장 취재] 로봇과 친해지는 특별한 경험! 연극 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에디는 천장에 달린 CCTV로 어린이들이 쓴 헬멧의 색을 인식해서 관객을 구분할 수 있답니다. 또한 몸통에는 압력 센서가 붙어 있어서 관객들이 로봇을 쓰다듬으면 이에 반응할 수도 있지요. 관객들은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에디를 도와 반짝반짝 빛나는 우주 광물을 줍고, 화면 앞에서 팔을 ... ...
- Part 2. ICM 관전 포인트 넷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숨겨놓은 저력이 있는 게 분명하겠죠? 또 국제수학연맹이 수학 실력으로 국가를 구분한 등급에서 브라질은 최상위권에 속합니다. 아빌라 박사가 공부한 곳은 브라질의 항구도시 리우데자네이루에 있는 ‘순수수학 및 응용수학 연구소(이하 IMPA)’입니다. 이곳 강의실에서는 다른 연구소에서 볼수 ... ...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과학동아 l2018년 08호
- 교수는 “지문 센서에는 온도 센서와 압력센서도 함께 탑재해 위조 지문과 실제 지문을 구분할 수도 있다”며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에도 적용하는 등 앞으로 쓰임새가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38/s41467-018-04906- ... ...
- [Culture] 영화 속 그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있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책상에 놓아둔 컵에서 떨어진 물방울과 헌트가 흘린 땀방울을 구분할 수도 있는 셈이다.지금도 여전히 첨단기술로 꼽히는 부분도 있다. 컴퓨터실은 음성인식과 망막인식을 이용해 신원을 확인한 뒤에야 접근이 허용된다. 헌트가 공중을 택한 이유도 이런 다중 보안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8호
- 찾는 방법도 알 수 있습니다. 지도 위에 있는 전 세계 모든 국가를 4가지 색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4색 정리’도 직접 확인해 보세요.교과서에서 배운 수학 개념부터 융합수학, 산업수학까지 수학나라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준비가 됐나요?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과학동아 l2018년 08호
- 돌로 만든 ‘석탑의 나라’라고 불린다. 이는 탑의 재료와 구조, 양식의 차이에 따른 구분으로, 각국에 많이 남아있는 탑의 영향이 크다.한국의 탑은 목탑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지만 거의 멸실돼 지금은 터만 남아 있고, 돌로 만들어진 석탑이 현존하는 탑의 절대다수를 차지한다. 한국에서 유독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8] 자기소개서, 어떻게 쓸 것인가과학동아 l2018년 08호
- 역량 중심으로 정리해보자. 역량은 학업역량, 전공적합성, 인성, 발전가능성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다음 자신이 한 활동이 어떤 역량을 강조할 수 있는지 정리해보자. 이 과정은 자기소개서를 쓰기 위한 소재를 고를 때 이정표 역할을 한다. ➌ 각 문항별 평가 역량에 가장 적합한 소재 ... ...
- [국립과학관 공동특별전] 수학나라의 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찾는 방법도 알 수 있습니다. 지도 위에있는 전 세계 모든 국가를 4가지 색만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4색 정리’도 직접 확인해 보세요. 교과서에서 배운 수학 개념부터 융합수학, 산업수학까지 수학나라에서 다양한 모험을 즐길 준비가 됐나요? 안과 밖이 똑같은 뫼비우스 띠처럼 사실 우리가 사는 ... ...
- [과학뉴스] 사소한 차이까지 포착하는 암 진단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따라 최대 흡수 파장이 달라지도록 설계됐다. 22개의 염기서열 중 단 한 곳만 다른 miRNA도 구분해낼 만큼 정확하다. 이 책임연구원은 “질병 진단뿐 아니라 miRNA의 양을 추적해 약물 투여 전과 후의 치료 효과를 분석하는 센서로도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16/j.bios.2018.04.03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