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각각 촉발지진(triggered earthquake)과 유발지진(induced earthquake)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그 구분이 매우 어려우므로 이 글에서는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지진을 모두 유발지진이라고 부르겠다. 지진을 일으키는 인간의 활동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다. 핵실험과 같은 대규모 폭파나, 댐이나 저수지를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이뤄져 있으며, 땅과 바다 중 위치하는 영역에 따라 대륙지각과 해양지각으로 구분한다. 일반적으로 대륙지각(평균 약 35km)이 해양지각(평균 약 5km)보다 훨씬 두껍다. 하지만 대륙지각은 화강암질 마그마로 이뤄져 있어, 현무암질 마그마가 굳어진 해양지각보다 밀도는 작다. 지권에서 약 80%로 가장 ... ...
- 어느 수학자의 하루 - 커피, 맥주, 거품, 소음수학동아 l2018년 06호
- 맛있네요.”예전에 한 카페에 갔을 때다. 커피를 주문했는데, 보리차인지 커피인지 구분이 되지 않을 정도의 맛없는 커피가 나왔다. 그러나 이곳은 적당한 산미를 풍기는 원두로 커피를 적절한 농도로 뽑아내 정말 맛있다. 나 같은 커피애호가는 커피의 맛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궁금할 ... ...
- [인터뷰] 정원영_광주과학고등학교 입학부장 “학교생활 최우선, 사교육 최소화”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전 과정의 개념을 다루고 있어 성실하게 공부했는지 그렇지 않은지에 대해서 충분히 구분할 수 있을 만큼 변별력을 갖추고 있다. 1박2일로 진행되는 3단계 영재 다면평가에서는 의사소통 능력과 리더십 및 인성, 융·복합적 사고력, 과학 연구설계 능력을 평가한다. 형식은 매년 새롭게 구성되는 평가 ... ...
- Part 1. 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얻기 위해 암호를 푸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1~3세대 암호체계와 구분된다. 이론적인 연구는 1978년부터 시작됐지만, 크레이그 젠트리 IBM 왓슨연구센터 연구원이 2009년 실질적인 돌파구를 마련하면서 빠르게 발전하기 시작했다. 동형암호가 주목받는 이유는 빅데이터 시대를 ... ...
- [Career] 물로 만드는 친환경 반도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통째로 흡수하는 만큼 카메라에 컬러 필터를 별도로 장착해 RGB(적·녹·청) 색상을 구분해야 한다. 하지만 유기 반도체는 파장에 따라 RGB를 각각 흡수하는 방식이다. 카메라 렌즈가 얇아져 신호 처리가 빨라지는 것은 물론, 실제 상황을 그대로 옮긴 것 같은 색감을 구현할 수 있다. 정 교수는 “유기 ... ...
- Part 2. 자율주행자동차 안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올렸다(0.3 메가픽셀). 김 교수는 “열 감지 적외선 카메라인 점을 감안했을 때, 사람을 구분하는 데에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며 “우버에 적외선 카메라가 달려 있었다면 최근 사고와 같은 동일한 상황에서 위험이 절반 이하로 낮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량과 사물 간 연결시스템(V ... ...
- Part 2. 산업계 지켜줄 첨단 파수꾼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적용한 것도 처음”이라고 말했다. 동형암호는 완전동형암호와 부분동형암호 등으로 구분되는데 완전 동형암호는 덧셈과 곱셈 등 모든 연산이 무한히 가능한 반면, 부분동형암호는 일부 연산만 가능하다. 드론 띄워 실전 테스트 세계 첫 성공2016년 첫 논문을 발표한 뒤 연구팀은 실제 드론 제어에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가진 진피로 나뉩니다. 표피는 표면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는데, 기저층에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가 있습니다. 자외선 과다로 피부가 자극을 받으면, 티로시나아제라는 효소가 멜라노사이트 안에 있는 티로신 단백질을 산화시킵니다. 산화된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겨울에 떠나는 새 탐사! 윈터 윙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소리로, ‘드러밍’이라고 한답니다. 또한 새들의 울음 소리는 ‘콜’과 ‘송’으로 구분되기도 해요. 콜은 새들끼리 의사소통을 할 때 내는 소리고, 송은 수컷이 암컷에게 불러 주는 사랑의 노래랍니다. 그래서 사랑의 노래인 송의 소리가 훨씬 예쁘지요.” 김윤전 연구원의 설명이 모두 끝나자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