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분"(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제대로 분류할 수 있을 거라는 헛된 기대를 하지 말라는 것이지요. 다시 일곱 품종을 구분할 수 있는 최적의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하지요. 어떤 문제든 해결할 수 있는 만능 알고리즘을 기대하지 말고 해결하려는 문제에 맞는 적합한 알고리즘을 찾아 열심히 개발해야 한다는 교훈을 주는 ... ...
- [과학뉴스] 빨리 오고, 예측 빗나가고 올해 독감, 왜 이리 독한가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바이러스의 최초 검출 지역의 이름을 따 ‘빅토리아형’과 ‘야마가타형’ 2가지로 구분한다. 인류가 독감에 치명타를 입었던 스페인독감(H1N1), 아시아독감(H2N2) 등은 모두 A형 바이러스였다. 한국에서 80여 명의 사망자를 냈던 신종플루(H1N1) 역시 A형이다. 이 때문에 A형의 위협성에는 공감하면서도, ... ...
- [Future] ‘불멸의 삶’ 한국 상륙, 냉동인간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8년 02호
- 과학기술은 이들에게 ‘제2의 인생’을 선물할 수 있을까. 인간의 죽음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심장이 기능을 멈추는 ‘생물학적 사망’과 자신이 가진 추억, 기억 등이 사라지는 ‘정보 죽음’이다. 자신의 신체는 사라졌지만 정보는 남아있는, 즉 생물학적 사망과 정보 죽음 사이에 멈춰선 ... ...
- [과학뉴스] 우세안 없으면 난독증 생긴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전 세계에서 7억 명이 알파벳 ‘b’와 ‘d’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는 인구 10명 중 1명꼴이다.우세안(주로 사용하는 눈)이 없어 거울처럼 반전된 이미지 2개가 뇌에 모두 전달돼 혼란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프랑스 렌대 연구진이 이런 난독증을 유발하는 생물학적 원인을 밝혀냈다. ...
- [규정] 도핑 ZERO ‘클린 올림픽’ 만든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타인의 혈액을 수혈해서 체력을 높이는 도핑 방법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이는 자동 혈구분석기로 적혈구 종류를 분석하면 금세 적발할 수 있다.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적혈구는 총 100여 가지인데, 사람마다 이 중 2~3가지의 적혈구만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권 센터장은 “선수들의 적혈구, ... ...
- [인터뷰] “왜?”라고 질문하라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다. 무학과로 전환, 원하는 학과 100% 선택POSTECH은 2018학년도부터 모든 신입생을 학과 구분이 없는 ‘무학과’로 선발했다. 단, 정부 지원으로 설립된 창의융합IT공학과 20명은 별도로 선발한다. 타교의 무학과 선발과 다른 점은 학생이 원하는 학과로 100% 진학할 수 있도록 제도를 만들었다는 ... ...
- [Issue] 설마 내가 우울증? 우울증 검사 직접 받아봤습니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유지되는 조증과 우울한 감정이 지속되는 우울증이 번갈아 나타나는 조울증은 우울증과 구분하기 매우 어렵다. 백 교수는 “두 질환은 비슷해 보여도 처방하는 약이 전혀 다르다”며 “조울증 환자에게 우울증 환자의 항우울제를 처방하면 오히려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앙헬로스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크기와 모양을 가진 구장에서 경기를 치른다. 축구, 농구 등 여타 스포츠와는 확연하게 구분되는 점이다. 특히 메이저리그의 경우 야구장은 각양각색이다. 가령 보스턴 레드삭스의 홈구장인 펜웨이파크는 ‘그린 몬스터(Green Monster)’라는 별칭을 가질 만큼 높은 좌측 담장으로 유명하다. ...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구분할 정도로 민감하게 작동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압력에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을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 [실전! 반려동물] 개는 왜사람을 무는 걸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과정에서 상대방의 반응을 파악해요. 그다음 해도 되는 행동과 하지 말아야 하는 행동을 구분하는 법을 배우지요. 즉, 사람이나 동료 개를 세게 물면 안 된다는 것을 어릴 때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배우는 거예요. 이런 연습 과정이 없으면 무는 힘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서 나중에 피가 날 ... ...
이전68697071727374757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