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뭉치
덩이
다발
타래
쌓아올린 더미
솜뭉치
사리
d라이브러리
"
덩어리
"(으)로 총 1,44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칠면초, 지채, 퉁퉁마디 등의 염생식물을 볼 수 있다.*암염 : 바위처럼 단단히 굳은 소금
덩어리
.이 곳이 바로 철새들의 천국꼬르륵~. 이런! 내 배가 아우성치기 시작하는걸? 저기 혹시 먹을 것 좀 없을까요?“배가 고프면 천수만과 부남호로 가자. 그 곳에 가면 다른 새 친구들도 많이 만날 수 있을 ... ...
21세기 그린파워 리사이클링 사이언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쓸모없다고 천대 받는 쓰레기지만 상상력을 덧칠하면 예술품으로, 과학의 손을 거치면 금
덩어리
와 에너지로 다시 태어난다. 쓰레기의 몸값을 천정부지로 치솟게 할 첨단 재활용 기술을 만나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1세기 그린파워 리사이클링 사이언스 INTRO 쓰레기에게 새 생명을! PART1 ... ...
버섯과 곤충의 각별한 인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포자를 퍼뜨리고 이 포자는 균사로 변해 퇴적물을 분해한다. 흰개미의 애벌레는 균사
덩어리
나 포자 가루로 뒤범벅된 썩은 낙엽을 먹고 자란다. 곤충과 함께 버섯은 자연의 물질순환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셈이다.흰개미집버섯은 아주 맛있는 버섯으로도 알려져 있다. 그 이유는 흰개미의 ... ...
우리은하 향해 돌진하는 거대한 가스구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공개했다.스미스구름은 우리은하에서 약 8000광년 떨어진 곳에 존재하는 거대한 수소가스
덩어리
로 1963년 네덜란드의 천문학자 게일 스미스가 처음 발견했다. 천문학자들은 스미스구름이 우리은하나 이웃 은하가 탄생할 때 떨어져 나왔으며 태양 같은 별 수백만 개를 만들 수 있을 만큼의 수소를 ... ...
EPISODE2 판게아 프록시마 원정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식으면서 확대되다가 해구에서 다른 판 아래로 밀려들어간다. 밀려들어간 해양판은 한
덩어리
의 차가운 플룸이 돼 아래로 떨어지는데, 이때 생긴 반발력으로 뜨거운 플룸이 다시 위로 솟는다.플룸구조론은 맨틀의 대류를 잘 설명하는 이론인 동시에 초대륙에 대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지구의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일부가 바다 위로 뻗어 나온
덩어리
빙붕이 바다로 떨어져 나와 생긴 얼음
덩어리
산꼭대기를 덮고 있는 얼음층바닷물이 얼어 만들어지며 아무리 두꺼워도 1년에 2m 이상 자라지 못한다 바람이나 해류에 의해 이동하면 유빙(pack ice)이라고 부른다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일종 저장 능력이 뛰어나고 데이터 ... ...
겨울 바다에 밀려온 검은 재앙 태안 원유 유출 사고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나는 수산물은 먹을 수 없을 거란 얘기가 돌았다. 그러나 지금 태안에서는 물에 뜬 기름
덩어리
와 함께 희망을 건져 올리는 작업이 한창이다. 손에 손을 맞잡은 자원봉사자와 방제전문가, 생물영향평가를 하기 위해 모인 과학자의 노력이 모이며 태안의 상처가 조금씩 아물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 ...
PART 2 유출 원유 3분의1 회수한 태안의 기적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이봉길 해양오염관리국장은 “유처리제는 유출된 기름을 분산시키고 재응집을 막아
덩어리
상태의 기름에 비해 분해와 증발이 빨리 이뤄지도록 하므로 방제에 매우 효과적”이라며 “먼 바다에서 부유중인 기름에 한해 사용했고 해안 가까이에서는 쓰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EC/UN 공동지원단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방법이 개발됐다. 암세포 중 ‘고형암’(solid tumor)는 수많은 세포가 단단하게 뭉친
덩어리
다. 이 때문에 고형암이 있는 곳은 암세포가 호흡하느라 산소를 모두 소비해 무산소 환경이 된다. 그런데 기존의 항암제는 산소가 있는 조건에서만 약효가 발휘돼 고형암 치료는 암치료의 난제였다.네덜란드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두 배로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패킷인 작은
덩어리
로 쪼개서 송수신 하는 방식으로 송수신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편화산의 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현재 활동하지 않는 화산 열원이 완전히 소멸돼 부활할 가능성이 없는 화산체 현재는 분화하지 않지만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