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쪽"(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과학동아 l1995년 01호
-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30분W자 모양을 한 카시오페이아자리와 그 동쪽의 페르세우스 자리 사이에 보이는 밝은 성단으로 두 개의 산개성단이 바로 옆에 붙어 있어서 이중(double)성단이란 이름이 붙어 있다. 맑은 날에는 맨눈으로도 보이며 쌍안경으로 관측하기에는 더할 나위 ... ...
- 광공해 없는 겨울 은하수를 찾아서과학동아 l1995년 01호
- 아니면, 의미있는 관측자료를 얻기 힘들다.12일 금성의 서방최대이각. 금성이 해뜨기 전 동쪽 지평선 가장 높이 떠 있는 때이다. 이 때 금성의 고도는 약 47˚. 13일을 전후로 금성은 지평선에서 점점 높아졌다가 다시 고도가 내려가기 시작한다. 1월 중금성에 대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17일 천왕성의 ... ...
- 백두산 지질탐구과학동아 l1995년 01호
- 형성한 백운봉기 화산활동 절정기에 화산분출로 인한 고온의 화산회가 편서풍을 타고 동쪽의 발해 일대를 뒤덮고(베수비우스 화산 분출로 고온의 화산회와 화쇄류가 폼페이시를 멸망시키듯), 화재 및 지진 등으로 인한 막대한 인명손실 및 재산상의 피해가 발해왕조의 내부사정과 연계돼 멸망을 ... ...
- 화려한 산개성단 앞세워 황소 힘찬 돌진과학동아 l1994년 12호
- 압도하기 시작한다. 시간이 흐르며 엄청난 밝기의 시리우스를 머리로 한 큰개자리가 동쪽 지평선을 박차고 하늘을 향해 뛰어가는 듯한 모습으로 평정하기 시작한다 ... ...
- 지구과학 - 일기예보 적중률 80%과학동아 l1994년 12호
- 뜻이다. 우리나라는 편서풍 지대, 즉 대체적인 공기의 흐름이 서에서 동으로 이동하므로 동쪽 하늘에 무지개가 뜨면 이어서 비가 올 확률이 높다.○ 종소리가 똑똑하게 들리면 비가 온다날씨가 좋은 날은 지면에 많은 일사가 있기 때문에 지면 부근이 더워져서 상층과 지면부근의 기온 차이가 심하게 ... ...
- 1. 지상에서 우주로 비상과학동아 l1994년 12호
- 4시간이 돼 지구의 자전 주기와 일치한다. 그래서 적도 상공 3만6천㎞에 위성을 쏘아 올려 동쪽으로 돌도록 해두면 위성은 언제나 머리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현재의 위성통신은 대개 정지궤도 위성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위성은 고도가 높기 때문에 텔레비전 중계의 범위가 넓다. 또 지구 위에서 ... ...
- 달에 먹힌 처녀자리 스피카과학동아 l1994년 11호
- 가자 아름다운 행성인 토성이 공허한 늦가을 밤하늘에서 외로이 반짝이고 있다. 한편 동쪽의 지평선 위에는 리결과 베텔규스 등 화려한 1등성을 두개나 거느린 오리온이 옆으로 드러누운 채 떠오르고 있다. 밝은 별이 없어 특징없어 보이는 고래자리가 유명한 변광성 미라를 앞세워, 자신이 가을밤의 ... ...
- 화성, 잰걸음으로 프레세페성단 통과과학동아 l1994년 10호
- 누리며 적당한 고도를 유지해 관측과 사진촬영의 호조건을 제시해 주고 있다. 한편 동쪽의 하늘에서는 이중성단을 사이에 두고 카시오페이아자리와 페르세우스자리가 천천히 하늘을 향해 오르고 있다. 그밑으로는 화려한 겨울철 별자리들의 전령인 마차부자리가 카펠라와 산개성단들을 앞세워 ... ...
- 다이아몬드, 한반도서 나올 수 있다과학동아 l1994년 10호
- 세계 지질학자들의 관심을 크게 끌고 있다. 즉 중국대륙에서 확인된 대륙충돌대의 동쪽 연장이 어디로 가는가 하는 것이다.한반도에는 충돌대와 관련될 수 있는 두개의 습곡대가 알려져 있다. 그 하나는 한반도 남부에서 안정된 지괴인 경기육괴와 영남육괴 사이에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는 ... ...
- 태양관측의 요령과학동아 l1994년 09호
- 10일 단위로 나와 있으므로 그것을 이용하여 결정한다. 태양의 자전축이 천구의 북쪽에서 동쪽으로 기울면 +, 서쪽으로 기울면 -로 표시한다.(2) 자전축 방향각과 중심위도를 알면 일단 준비는 다 됐다. 망원경으로 태양을 맞추고 태양의 흐르는 방향을 보아 천구의 서쪽을 잡는다. 적도의 마운트가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