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녘
동방
동쪽지방
동진
동쪽 하늘
d라이브러리
"
동쪽
"(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만이 맛볼 수있는 지적흥분의 희열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지쳐 때로는 연구실에서 캐나다의 광활한 황야를 바라보다 해가 서쪽으로 지고 달이
동쪽
국경선으로 드는 광경에서 고향 생각을 떠올렸다. 그러면서도 이들 두개의 궤도가 하나 융합됐을 때의 상황을 구상해보곤 했다.그러던 중 지금까지의 골몰을 종식시킬 한 생각이 떠올랐다. 이루 말로 ... ...
3.3년 주기 엥케혜성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떠오르는 큰개자리의 모습이 추운 겨울의 분위기와 어울리는 듯하다. 큰개자리의 북
동쪽
에는 마치 1등성 하나로 이루어진 듯한 작은개자리가 위치하고 있다. 작은개자리의 알파성 프로키온, 오리온자리의 알파성 베텔규스, 큰개자리의 시리우스가 하늘에서 이루는 기하학적 모양을 우리는 겨울철의 ... ...
천체관측의 만능자, 항성시를 알자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대략 5시 30분 근처인 오리온자리는 남중해 있는 것이고, 적경이 11시 근처인 사자자리는
동쪽
지평선위에서 막 떠오르고 있는 것이고, 적경이 0시 전후인 페가수스 자리는 서쪽 지평선으로 지려하고 있을 것이다.(표2)에서 태양시와 항성시 차이값은 항성시를 쉽게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시한 ... ...
바다위는 멀쩡 개펄은 기름먹은 스펀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흘러나온 기름을 오일펜스로 가두려고 했지만 역부족이었다. 기름은 조류를 타고
동쪽
으로 확산돼 남해도의 어촌마을들을 차례로 덮치기 시작 했다. 다음날부터 광양만에서는 인간과 검은 기름의 전투가 시작됐다.개펄 게구멍 통해 20㎝ 이상 오염사고가 발생한 지 20일이 경과한 광양만은 ... ...
화려한 1등성들로 가득찬 겨울밤의 축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여름의 별자리를 보고 그뒤를 따르는 가을 겨울의 별자리를 계속 볼수 있는데, 새벽녘
동쪽
하늘까지 관측한다면 어느 별자리까지 볼 수 있을까? 해뜨기 1시간 30분 전까지는 관측이 가능하므로 태양보다 적경이 1시간 30분 작은 천칭자리(적경 15시30분)까지 볼 수 있을 것이다.이렇게 계산하는 방법은 ... ...
밤하늘의 보석들을 사진에 담자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태이고 적도상의 별은 일직선의 광적을 남긴다. 그리고
동쪽
에서 뜰 때와 서쪽으로 질 때의 각도는 연직선에 대해서 그 촬영지의 위도 만큼 남쪽으로 기운다.처음으로 촬영을 시작하는 사람에게 가장 재미있는 촬영대상으로 북극성 주위의 일주 운동을 들 수 있다. 북극성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피타고라스학파는 지구는 구형이며 태양 달 등 여러 천체는 우주의 중심을 서쪽에서
동쪽
으로 제각기 독립적으로 운동하고 그와 동시에 24시간마다 반대방향으로 1회전한다고 생각했다. 피타고라스 학파의 이러한 가정은 지구 주위에 있는 천체의 겉보기 일주 운동을 잘 설명할 수 있었다.그러나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별이 놓여있고, 칼집 아랫쪽에는 유명한 오리온대성운이 보인다(사진2). 삼태성 중에서
동쪽
에 있는 별주위에는 유명한 말머리성운이 위치한다(사진4). 육안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온대성운을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사진3)처럼 가운데 4개의 푸른별이 보인다. 이들을 사다리성단이라 한다. 이 ... ...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달이 뜰 때는 이미 개기식이 끝난 뒤이다. 이 개기식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에서
동쪽
으로 한참 비행기를 타고 날아가야 한다.■ 서쪽하늘의 토성해가 지고 천문박명이 된 뒤 하늘을 보면 이미 토성이 서쪽하늘로 치우쳐 있다. 토성도 추위를 타 움추려든 느낌이지만 망원경으로 보는 토성의 ... ...
지맥 단절이 생태섬 만든다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주택가와 아스팔트 도로가 차단해 결국 이들 산은 생태적인 섬이 됐다. 북한산 도봉산
동쪽
에 불암산과 수락산이 있지만 중간에 대규모 주택단지로 생물종의 이입은 거의 불가능하다. 또한 서쪽에 노고산, 북쪽에 꾀꼬리봉이 있으나 중간에 아스팔트도로 주택가 유원지가 들어서 북한산으로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