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몸속에 지니고 있는데, 생명 활동이 정지되는 순간부터 이 박테리아들은 우리 몸을
먹이
로 삼는다. 체온이 낮아지고 면역 체계가 제 기능을 못하면서 우리 몸이 더 이상 박테리아의 활동을 제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장과 같이 평상시에 박테리아가 많이 모여 있는 부위는 그렇지 않은 부위보다 부패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아주 중요한 생물이랍니다. 다른 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겨울 동안 순록이 먹는 유일한
먹이
가 바로 지의류이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툰드라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지의류를 ‘순록이끼’라고 불러요.지의류는 빵과 샐러드를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해요. 특히 전쟁 중에는 중요한 식량이었지요.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배기가스 등에서 나온다. 토양에서 강과 바다로 유출된 질산성질소(NO3-)는 조류의
먹이
가 돼 녹조현상을 일으킨다. 질산성질소는 암모니아와 더불어 미세먼지의 주요 구성 성분이기도 하다.1995년부터 2005년까지 10년 동안 전세계 단위면적 당 질소화합물 배출량은 156t에서 185t으로 18.6%나 증가했다. 20 ... ...
[가상인터뷰] 물고기는 지느러미로 바닥을 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곤충의 더듬이처럼 주변의
먹이
나 적을 감지하는 역할을 해요.또한 저는 주로 늦은 밤에
먹이
를 찾아 나서요. 붉은지렁이, 곤충, 해초류 등 동물과 식물을 가리지 않고 이것저것 다 잘 먹는답니다.닥터 그랜마 : 밤에는 헤엄치기 어렵지 않니?메기 : 컴컴한 물속에서 헤엄을 치는 건 쉬운 일이 ... ...
알면 알수록 신기한 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알아냈어요. 알 껍데기의 탄산칼슘은 어미 몸속의 뼈에서 나와요. 그런데 주변 흙이나
먹이
에 칼슘 성분이 부족하면 알 껍데기에 사용할 탄산칼슘도 줄어들어 껍데기가 얇아지지요. 이때 색소가 알 껍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해 준답니다.알의 색으로 어미의 털색도 알 수 있어요. 알을 낳는 닭인 ... ...
[과학뉴스] 개미가 ‘군기’ 잡는 방법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일개미들 사이에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한 행동이 관찰된다. 지배권을 획득한 개미는
먹이
자원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재생산을 위한 행동도 할 수 있다.연구팀은 개미가 이를 위해 세 가지 행동을 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먼저 한 개미가 다른 개미의 머리를 깨무는 ‘물기(Biting)’ 행동이다. 무는 ... ...
[Knowledge] 거대 악어의 반격이 시작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얇은 이빨을 가진 모우라수쿠스는 펠리칸처럼 물속의 작은 생물들을 건져 먹었다. 먹는
먹이
가 서로 달라서 서식지를 사이좋게 공유할 수 있었던 거다.아름다운 과거를 뒤로 하고악어는 지난 2억 5000만 년 동안 수많은 변화를 겪었다. 2억 년 전에 있었던 초대륙의 분열로 급격한 환경변화도 겪었고, ... ...
거꾸로 푸는 역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정보가 왜곡된다는 원리를 이용한다. 게다가 전기물고기는 이 정보를 통해 먹을 수 있는
먹이
인지 아닌지도 알 수 있다. 직접 보지 않고도 다른 정보를 활용해 원하는 정보를 알아내는 것이다. 즉 전기물고기는 자연스럽게 역문제를 풀고 있다.전기물고기 외에 역문제를 해결하며 살아가는 동물에는 ... ...
[과학뉴스] 새들도 문장으로 대화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의사소통을 한다. 그중에는 천적이 접근했을 때 내는 ‘조심해’에 해당하는 소리와,
먹이
를 찾았거나 구애를 할 때 내는 ‘이리와’에 해당하는 소리가 있다. 연구팀은 박새들이 천적에 맞서 싸워야 할 때 ‘조심해’와 ‘이리와’에 해당하는 소리를 연달아 내며 무리를 짓는다는 사실을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변형이 가장 큰 부분은 더듬이였다. 곤충에게 더듬이는 온도와 습도의 변화를 감지하고
먹이
의 위치를 파악하는 핵심적인 기관이다. 방사능으로 오염된 지역의 돌연변이들은 더듬이 2개가 중간에 붙어서 자라거나 서로 다른 길이로 자라 있었다. 더듬이의 일부가 사라지거나 두꺼워진 사례도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