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료
먹거리
식량
음식
먹을거리
양식거리
양식
d라이브러리
"
먹이
"(으)로 총 2,130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으로 꿈꾸다! All Light! All Right!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2호
물고기에게
먹이
를 줄 수도 있었어. 내가 그린 물고기가 스크린 속에서 살아 움직이고
먹이
도 줄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하지?그런데 곧 더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 우리가 걸을 때마다 아름다운 꽃이 피어나지 뭐야! 바로 ‘디지털 가든’으로, 우리의 움직임에 따라 적외선이 반사되거나 차단되는 것을 ... ...
아끼고 지키는 게 힘! 생물다양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이기지 못한 한 생물종이 멸종할 거예요. 이렇게 되면 해당 생물을 먹는 다른 생물들이
먹이
를 찾지 못해 멸종하는 경우가 생겨요.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멸종이 계속되면 결국 모든 생물들이 멸종하고 우리 인간들마저 목숨이 위태로워질지 몰라요.하지만 다양한 생물이 더불어 살고 있다면 ... ...
알록달록, 카멜레온처럼 변하는 전자피부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다들 이미 날 잘 알고 있겠죠? 저는 물고기를 닮았지만 새끼를 낳고 새끼에게 젖을
먹이
는 포유류예요. 물고기라고 하기엔 덩치가 큰 편이죠. 가장 작은 쇠향고래가 몸길이 2.6m, 몸무게 135kg이고, 가장 큰 대왕고래가 몸길이 34m, 몸무게 190톤 정도니까요.여러분이 말하는 ‘고래’는 수염고래목과 ... ...
고라니 vs 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20호
겨울이 돼 식물이 줄어들면 몸을 숨기기 위해 더 높은 산 속으로 들어가 살아요. 이때는
먹이
가 줄어드는 만큼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 체내 대사율을 떨어뜨리기도 하지요.노루와 고라니가 헷갈릴 땐 뿔과 엉덩이를 살펴보세요. 수컷 노루는 고라니와 달리 뿔을 갖고 있거든요. 세 갈래로 갈라진 뿔은 ... ...
지구상엔 나무가 총 3조 그루!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9호
굶어 죽을 걱정이 없어요. 하지만 암컷들은 유빙에 머무르다가도 새끼 를 낳을 때가 되면
먹이
가 부족한 육지에 가야 하죠. 그리고는 새끼를 낳은 뒤 다시 돌아온답니다. 그런데 갈수록 유빙이 녹으면서 육지와 멀어져서 돌아오기 가 어려워지고 있어요. 지구온난화 때문이죠. 최근 미국 ... ...
생체모방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적합한 행동을 스스로 학습하는 프로그램이에요. 개미로봇들은 반복적으로 움직이면서
먹이
를 옮기는 가장 빠른 길을 찾을 수 있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로봇최근 로봇 과학자들은 로봇을 작게 만드는 데 열중하고 있어요. 로봇의 크기를 줄이면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이동할 수 있어 ... ...
치타 VS 표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수 있거든요. 또 표범은 어깨뼈에 붙어 있는 근육이 발달해서 나무에 잘 오를 수 있어요.
먹이
를 잡은 뒤 나무 위에 올려 놓고 며칠씩 먹기도 한답니다.표범은 치타처럼 고양이과에 속하며 몸 길이는 약 1.5m예요. 하지만 치타와 달리 사바나 지역이나 열대우림 환경을 더 좋아한답니다. 그렇다고 해서 ...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8호
다른 박쥐에게 구걸을 해요. 만약 다른 박쥐가 구걸에 응하면 피를 토해 구걸하는 박쥐를
먹이
지요. 피를 얻어먹은 박쥐는 하루 더 살 수 있어요. 박쥐가 다른 박쥐에게 피를 나눠 주는 이유는 나도 언젠가 사냥에 실패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이럴 경우 내가 피를 나눠 주었던 흡혈박쥐에게 도움을 ... ...
천적 불가사리 잡아먹는 나팔고둥 포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조개 양식을 하는 어민들에게 큰 피해를 주기도 해요. 고둥 역시 불가사리에게 좋은
먹이
가 되지요. 하지만 고둥 중에서도 몸집이 큰 나팔고둥만은 예외예요. 나팔고둥은 다 자라면 길이가 30cm에 달할 정도로 커져요. 나팔고둥은 다른 고둥과 달리 천적관계가 뒤바뀌어 오히려 불가사리를 ... ...
개가 주인 보고 꼬리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7호
있는 부분을 말해요. 사람의 뇌에서 측두엽은 기억과 인지를 담당하는 곳이에요. 반면
먹이
를 바랄 때 반응하는 뇌의 보상회로 부분은 활성화되지 않았어요. 개가 사람이나 개의 모습을 알아보고 반가워한다는 사실이 실험을 통해 밝혀진 거예요.그레고리 번스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개도 ... ...
이전
67
68
69
70
71
72
73
74
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