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d라이브러리
"
민감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약효 올리고! 부작용 내리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고혈압치료제로 가장 많이 쓰이는 약이다. 하지만 노바스크는 빛에 굉장히
민감
해 조금만 노출돼도 변질되는 단점이 있었다. 아모디핀은 이런 광안정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구조변경 개량신약이다.‘노란색’으로 유명한 SK케미칼의 트라스트 패치는 약효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투여 방법을 바꾼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관계를 이해하는데 모든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전문가들은 유아기는 재능 발달의
민감
기이므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한다. 한기순 교수는 “유아 영재는 성취물이나 산출물이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재능은 고정적이지 않고 다른 분야로 전이될 확률이 높다”는 ... ...
오늘의 건강을 예보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뚱뚱한 사람, 수줍음이 많고 감성이 풍부하거나 우울증이 있는 사람들이 날씨에
민감
하다고 주장했다. 반대로 균형잡힌 체격의 중산층 남자들, 차분하면서도 적극적인 사람들은 날씨 변화에 무디다고 한다. 미니스커트 입을까, 말까 “오늘 최저기온은 0℃로 미니스커트를 입을 경우 체감온도는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그런데 사람의 눈은 다른 어떤 사물보다도 특히 사람의 얼굴과 몸의 형태, 움직임에 매우
민감
하다.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하루에도 수백 번씩 상대방의 얼굴과 움직임을 관찰하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컴퓨터 그래픽으로 바람에 흩날리는 낙엽을 묘사한다고 하자. 그 낙엽이 ... ...
요금내리면 휴대전화 얼마나 쓸까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정민이의 이번 달 사용량은 지난 달의 고지서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왜냐하면 요금에
민감
하니까. 지난 달에 많이 썼으면 엄마에게 잔소리를 듣고 이번 달에는 줄여야 할 것이고, 만약 지난 달이 시험기간이었거나 친구와 헤어져 휴대전화 쓸 일이 없어 요금이 조금만 나왔다면 이번 달에는 마음 ... ...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포유류는 색채보다 명암 구별이 생존에 더 중요했고, 그 결과 진화과정에서 빛의 세기에
민감
하지만 색깔을 구별할 수 없는 간상세포가 원추세포보다 더 많아졌다”고 설명한다.시력이 약한 대신 개의 청각과 후각은 사람보다 우수하다.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소리는 2만Hz가 한계인데 개는 6만5000Hz의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7%이상 함유하는 폭약의 총칭 A B 노벨(Nobel)은 액체 니트로글리세린이 너무
민감
하여 공업용 폭파약으로 적합치 않다고 생각하고 1866년에 규조토에 이것을 흡수시켜 규조토다이나마이트를 발명하고 후에 면약으로 겔화시킨 블라스팅젤라틴을 만들었다 천체가 연속적으로 자기장을 가지는 현상을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줄어들면서 인도네시아 산호초의 86% 이상이 사라졌다. 산호는 환경의 변화에 가장
민감
한 해양생물로 1997년~1998년에 발생한 엘니뇨로 전 세계 산호초의 16%가 아름다운 빛을 잃고 하얗게 탈색되었다.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 변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국제 사회는 1997년 교토의정서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자기장의 힘은 정말 대단합니다. 심지어 지구가 갖고 있는 자기장은 태양의 위험한 열에너지를 막아 줌으로써 생명체를 보호하고 있을 정도지요(사진). ... 이용해서 만든다. 내부 구조와 작동 원리는 복잡하지만 기존의 나침반보다 훨씬
민감
하여 미세한 자기장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 ...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위에서 도시 전체를 스캔했다. 구겨진 종이 위에 찍혀 있는 D까지 다 읽을 수 있도록 만든
민감
한 장치였다. 인공지능은 Smart D사의 인공지능이 보낸 영상 중에서 오로지 ‘D만을’ 읽었다. 그것은 마치 수백만 화소의 카메라로 찍은 흑백 사진과도 같은 그림이었다.그러나 인공지능은 아직도 해상도가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