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과민
섬세
민감도
sensitive
센서티브
쎈서티브
쎈시티브
d라이브러리
"
민감
"(으)로 총 1,180건 검색되었습니다.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후기 LTP에서와 마찬가지로 여러 유전자의 발현과 단백질 합성을 통해 일어난다. 군소
민감
화 학습에서는 세포 내에서 인산화 반응을 일으키는 효소인 카이네이즈가 관여한다고 밝혀져 있다. 예를 들어 여러 종류의 카이네이즈 중 PKA가 유전자 전사인자인 CREB을 인산화시키고, 인산화된 CREB이 여러 ... ...
플라스틱자전거 vs 강관자전거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대한 미적 선호도나 안전성 등을 고려하지 못했다. 시장의 변화에 따라 자전거 디자인에
민감
하게 반응하는 소비자의 심리를 따라가지 못했던 것이다. 공학자에게는 소재의 한계 때문에 디자인이 왜곡되는 것이 당연해보일 수도 있지만 소재뿐만 아니라 제품의 이미지도 함께 소비하는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어려운지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말했다. 경북대 김언경 교수는 “특정한 맛에 대한
민감
도가 혀의 위치에 따라 약간 다를 수는 있으나 기본적으로 혀 전체에서 느낄 수 있다”고 설명했다.맛을 감지하는 메커니즘미각 수용기인 맛봉오리는 혀를 비롯한 구강, 인두, 후두에 분포해 있다. 맛봉오리를 ... ...
나만의 전속 영양사 - 유전자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콜레스테롤 등 전반적인 지질대사가 활발히 일어났다.지방 대사나 식이섭취에
민감
한 유전자 변이의 역할을 규명하면 개인별 ‘유전적 지문’에 따라 비만이나 비만 관련 질병의 발생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다. 위험도가 높은 사람에게 개인별로 알맞은 식품 권장량과 섭취방법을 알려주거나 ... ...
제3의 시각세포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유전자를 개구리 난모세포에서 발현시켰다. 그 결과 멜라놉신을 함유한 난모세포가 빛에
민감
하게 반응함을 관찰했다. 또 멜라놉신이 무척추동물의 눈에 있는 색소와 비슷하게 작동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연구자들은 “미래에는 막대세포와 원추세포가 없는 맹인의 망막세포에 멜라놉신 유전자를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있다. 바로 처음 디자인을 계획하는 일이다.“디자인이라는 것이 환경 변화에 아주
민감
하고 변화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그 변화를 늘 주시하죠. 그 시기에 맞는 적절하면서 정확한 컨셉을 도출해 내야 합니다. 그래서 늘 긴장하고 다양한 정보를 갖고 있어야 하죠.”그는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마다 ... ...
식물에도 눈동자가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애기장대를 비롯한 몇몇 식물에서 PAPP5 유전자를 과다 발현시켜봤다. 그 결과 빛에 대한
민감
성이 실제로 20~30% 정도 증가했다. PAPP5 유전자가 피토크롬이 최적의 상태로 빛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조절한 것이다. 일조량 적어도 고품질 벼 수확“농작물에 PAPP5 유전자를 삽입하면 적은 양의 빛을 ... ...
영화 말아톤의 감동은 진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함은 물론이다. 또 기능이 떨어지는 돌연변이체를 갖는 경우는 환경의 영향에 더욱
민감
하게 반응할 수도 있다. 자폐증은 이런 식으로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모두 받는 것으로 보인다.최근에는 자폐증이 뇌의 염증과 관계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나왔다. 자폐증 뇌의 경우 면역세포의 일종인 ... ...
1. 디자인으로 기업이 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도 있어야 한다. 이쯤 되면 디자이너들이 언제나 긴장을 유지하면서 주변 정보에
민감
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를 알만도 하다. 그러면서도 원칙을 유지하고 끊임없이 주위와 소통하는 것은 모두 일종의 생존 법칙인 셈이다. 디자인을 좀더 쉽게 도와주는 첨단기술에 의존하기도 한다.히트작은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심한 갯벌이다. 또 퇴적물 공급량이 적기 때문에 서해 갯벌은 해수면 상승에 매우
민감
하고 취약하다.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전지구의 해수면 상승은 그 속도가 급격히 빨라져 연간 3mm 정도로 알려져 있다. 앞으로 100년 후에는 서해에서 해수면이 약 30cm 상승하게 된다. 서해 갯벌의 경사도가 1/1000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