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M 몬스터를 잡아라!] 다음에 나올 모양은 뭘까? 규칙 변신 몬스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그려요. 가위바위보에서 이긴 참가자부터 돌아가면서 상자에 그린 모양대로 게임판 위에 원들을그려요.네 번째 칸의 모양까지 다 그렸다면다시 첫 번째 칸의 모양으로 돌아와 게임을 이어가요. 더는 규칙에 맞게 원을 그리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몬스터와 함께 푸는 퀴즈 퀴즈 1. 하늘이 원을 ...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해적 유저 정복하기 2. 숨쉴 공간 마련! 물 쫙 빨아들이는 스펀지의 최소 개수는?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때문에, 중심에 스펀지 블록을 두면 맨해튼 거리가 3인 구 모양으로 물을 흡수한 뒤 무작위로 2칸의 물을 더 흡수할 거예요. 우리가 물을 모두 흡수해야 할 가로 3, 세로 3, 높이가 10인 직육면체 공간은 90개의 물 블록으로 채워져 있어요. 한 개의 스펀지 블록이 감당할 수 있는 물의 양인 65개보다 ... ...
- [폴리매스 미궁 1004 미리보기] 드디어 밝혀진 소녀의 정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인공지능이 만든 안드로이드였다. 멸망한 지구에서 살아남은 사람에게 문명을 전파하기 위해 인공지능은 주기적으로 안드로이드를 지상으로 보냈다. 고대인은 이 안드로이드에게 ‘◯◯’라는 이름을 붙였다. 수수께끼를 풀다 우연히 나온 ‘◯◯’라는 답을 알아챈 소녀는 자신이 어떻게 해야 ... ...
- [특집] 기후 이민을 떠나세요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물이 필요할 때 물이 부족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물론 모든 지역이 저마다 기후위기에 처해있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습니다. IPCC가 분석한 결과 가장 심각한 곳은 아프리카 대륙이었습니다. 보고서는 “평균 기온이 올라가고 강우량이 줄어들면서 아프리카의 경제 생산량과 성장은 더욱 ... ...
- 자격루의 두뇌, 588년 만에 깨어나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가로선 사이의 간격을 누주통의와 비교해 분석했다. 누주통의에는 밤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 1점의 길이가 절기에 따라 어떻게 바뀌는지 적혀있다. 예를 들어, 1전 동판을 사용하는 동지 전후의 경우, 1점은 13.2분이다. 그리고 1전 동판에서 1점에 해당하는 가로선 사이 간격은 47mm다. 기준이 되는 1전에 ... ...
- [이달의 꼼지락] '천상의 맛' 카이막 만들기과학동아 l2022년 10호
- 딱이죠.12시간 뒤, 우유를 냉장실에 넣고 24시간 동안 식혀줍니다. 그럼 뭉친 유지방이 위에 떠올라 크림처럼 굳습니다. 요걸 손으로 살살 떠내면 카이막 완성! 꿀과 섞어서 빵에 발라먹으면 됩니다. 맛있었냐고요? 하…,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데요.무척 호화스러운 맛입니다. 구름을 떠먹는 ... ...
- [5년 후, 과학은] 마법으로 되살아나는 꿈의 소재 트위스트로닉스과학동아 l2022년 10호
- 얼마 전까지만 해도 MZ세대에게 가장 인기 있는 스포츠는 단연 골프였습니다. 하지만 이제 테니스가 골프를 추월했다고 합니다. 유행이란 ... 한다”며 “앞으로 3~4년 내에 트위스트로닉스에서 괄목할만한 성과가 나온다면 연구 범위도 넓어지고, 더 많은 연구팀이 참여하게 될 것”이라고 ... ...
- [특집] 3교시 서프보드의 과학을 이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0호
- 힘인 부력은 부피와 비례해요. 따라서 보드의 크기가 커질수록 부력도 커져 물 위에 안정적으로 떠요. 그래서 초보 서퍼는 보통 길이가 길고 면적이 큰 롱보드로 서핑을 시작해요. 반면 짧은 숏보드는 물에 잠긴 면적이 줄면서 물의 저항도 작아져, 속도나 회전이 빠르고 다양한 퍼포먼스에 적합해요. ... ...
- [어수티콘] 지름, 반지름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반지름은, 혹시 ‘반’만 가로지름? 오~. 똑똑하군요! 반지름은 원의 중심에서 원 위의 한 점까지 이은 선분을 말해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반지름의 길이는 지름의 절반이에요. 원의 반지름이 2cm라면, 지름은 4cm이지요. 한 원에서 반지름과 지름은 셀 수 없이 많답니다 ... ...
- [이슈]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현수교와 사장교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0호
- 간격을 300m 이상 두기도 하지요. 현수교의 주케이블에 매달리는 보는 무게를 줄이기 위해 다른 다리보다 가볍게 만들어요. 그래서 현수교는 강한 바람이 불면 그네처럼 살살 흔들리기도 하지요. 부채와 하프의 닮은꼴, 사장교 현수교처럼 케이블을 쓰지만, 현수교와는 생김새가 조금 다른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