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0.013초입니다. 여러모로 순간이동을 정의하기에 좋은 단어네요. 찰나의 시간 안에 지구 위 어디든 갈 수 있다면 순간이동이라고 인정해도 되겠죠. 지구 반대편까지 거리는 약 2만 km입니다. 0.013초 안에 2만 km, 즉 초속 약 154만 km로 움직이면 순간이동 좀 하는 녀석이라고 보면 됩니다. 인류가 만든 ... ...
- [파고 캐고 지질학자]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제주도 서귀포시의 바닷가, 잠수함 선착장 너머 해안에는 하얀색 조각들이 무수히 박힌 크고 작은 암석이 굴러다닙니다. 자세히 보면 이 흰 조각은 전부 해양 생물의 화석 ... 잔뜩 쌓인 새로운 지질 시대를 남기지 않으려면, 우리는 지금부터라도 지구를 지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겁니다 ...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수학동아 l2022년 08호
- SCIE급 논문 수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논문 수가 약 32.9 (× 백만 분의 일)개로 세계 8위에 올랐습니다. [IMU 국가 그룹] IMU는 회원국을 1~5그룹으로 분류해 IMU의 주요 결정 과정에서 자국 그룹만큼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특이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례 없이 한 번에 2단계 향상과 ...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돼요”라는 멘트까지 날려주셨지요. 알고 보니 필즈상 수상자 소개 영상을 제작하기 위해 7일 동안 촬영을 하셨다는군요. [PM 8:00] 친절한 메이나드 씨 필즈상 수상자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님은 돌고 돌아 만날 수 있었어요. 서로 원하는 시간이 계속 어긋났거든요. 교수님이 가능한 시간엔 기자가 ...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선을 그을 수 없다는 조건이 추가되면 첫 번째 선 이후로는 두 갈래길 중 하나를 무작위로 정해 선을 긋게 됩니다. 이렇게 그은 선을 SAW라고 해요. 뒤미닐-코팽 교수는 n이 커질 때 원점에서 출발한 SAW의 모든 경우의 수의 증가 속도를 연구했어요. 지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4색으로 색칠하자 ...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서 새로운 관점을 열었어요. 이번 문제도 위튼 교수의 아이디어처럼 문제의 조건을 잘 ‘탐지’하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는 새로운 대상을 도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힌트를 참고해 어떤 대상을 어떻게 도입할지 고민하는 ...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과학동아 l2022년 08호
- ■리드추측은 1852년에 제안된 4색 정리 문제에서부터 시작한다. 4색 정리는 지도 위의 모든 나라를 색칠하는데, 네 가지 색으로 인접한 나라끼리 색이 겹치지 않게 칠하는 것이 가능한지 따지는 문제다. ■평면 그래프를 활용하면 4색 정리 문제를 이해하는 데 편리하다. 각 나라를 점으로 표시하고 ...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소자, 전기 및 에너지 등을 폭넓게 다루는 전기·전자공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 범위가 좁다. 진로도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다만 학생의 의지만 있다면 전자공학, 소프트웨어 산업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1~2학년 때 전기·전자공학부와 동일한 기초과목을 수강하기 때문이다. 성균관대 ... ...
- [지구사랑탐사대] 지사탐의 봄은 도롱뇽의 산란으로 시작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생물을 관찰했어요. 수컷 큰산개구리 한 마리가 암컷을 부르는 노래를 시작하면 주위의 다른 개구리들도 합창해 넓은 남산이 개구리 소리로 가득 채워졌답니다. 지사탐 하정주 매니저는 “도심 속 흔한 공원에서도 시간대에 따라 다양한 생물들을 만날 수 있으니 가족과 함께 익숙한 공간에서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8호
- ●언제?2021년 9월 10일섭섭박사님이 어두운 곳에서 독서를 하고 있어요.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에너지를 절약해야 한다나…. 문제는 어두운 곳에서 글씨를 읽으면 눈이 나빠진다는 거예요. 딜레마에 봉착한 섭섭박사님이 찾은 해법은 ‘풍력 에너지’예요. 만들기 키트 ‘스마트도시 풍력 에너지 ... ...
이전6768697071727374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