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M 몬스터를 잡아라!] 우리는 무슨 관계일까? 가르기·모으기 변신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긴 참가자부터, 모두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수 2개~4개를 칠해요. 더이상 게임판
위
의 수를칠하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아래 게임판으로 직접 게임을 해 보세요 ... ...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흔들리는 것들을 사랑했다. 집 근처 나무들을 가리켜 ‘쟤네들’이라 불렀고 다리
위
로 기어오르는 풀벌레를 ‘얘’라고 불렀다. 성당으로 내려오면 준이는 아무도 없는 강당에서 어젯밤에 작곡한 곡을 연주했다. 밤이면 집 옥상에 올라 별을 보며 우리가 만났던 사람들과 앞으로 만나고 싶은 ... ...
[에디터 노트] 전지적 독자 시점으로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합니다. 과학동아는 독자 선호 파악을
위
해 전자책 도입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독
위
에 참여하신 분들은 과학동아 전자책 버전을 가장 먼저 만나보게 되실 겁니다.여러분을 과학동아의 주인공으로 초대합니다. 오실 거죠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적] 조합론의 고전 문제, 그래프 색칠하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강화됐는데, 계수들의 로그 값이 아래로 오목한 ‘로그-오목’이라는 것입니다. 곡선
위
에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으로 연결했을 때 그 직선이 곡선보다 아래에 있으면 아래로 오목하다고 합니다. 이 곡선에 로그를 취하면 더 완만한 곡선이 그려지는데, 이것이 로그-오목입니다. 로그-오목이면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문제들에 도전하는 수학자들도 늘었습니다. 이런 성취를 기반으로 2022년 한국은 IMU 최상
위
등급인 5그룹으로 한 단계 더 상향됐습니다. ▲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ICM에서 초청강연을 한 오희 교수(왼쪽 하단)와 2010 필즈상 수상자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교수(오른쪽 상단). 제 2의 허준이 교수가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묻는 문제입니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와 관련한 문제입니다.
위
에서 소개한 문제들은 수십 년간 많은 수학자가 도전했지만 오랜 기간 동안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려운 문제에 도전할 때 ‘과연 자신이 이것을 풀 수 있을까’ 하고 자신감을 ... ...
[수학자와 함께 마인크래프트] # 네더월드 정복하기 2. 보스 몬스터 잡고 보스 몬스터 잡고 신호기 만들자! 신호기 만들자!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만들면 되는데요. 규칙에 따르면 3층까지 필요한 블록의 개수는 83개이고, 4층을 만들기
위
해선 맨 아래층에 9×9=81개의 블록이 더 필요하므로, 164(=81 + 83)개가 필요하답니다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
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서 새로운 관점을 열었어요. 이번 문제도
위
튼 교수의 아이디어처럼 문제의 조건을 잘 ‘탐지’하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는 새로운 대상을 도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힌트를 참고해 어떤 대상을 어떻게 도입할지 고민하는 ... ...
[생태관광] 지역주민과 자연이 어우러지는 여행을 고민합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낙후된 지역 상황을 고려할 때 생태관광을
위
한 전문적인 지식과 자금 조달을
위
해 지역사회의 노력과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짚었습니다. 성연주 환경부 자연환경정책과 주무관은 “생태관광지역 주민과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생태관광 디렉터 및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과정을 ... ...
정원 6배 증가? 반도체학과 도전해볼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소자, 전기 및 에너지 등을 폭넓게 다루는 전기·전자공학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습 범
위
가 좁다. 진로도 다소 제한적일 수 있다. 다만 학생의 의지만 있다면 전자공학, 소프트웨어 산업으로도 진출이 가능하다. 1~2학년 때 전기·전자공학부와 동일한 기초과목을 수강하기 때문이다. 성균관대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