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문제들에 도전하는 수학자들도 늘었습니다. 이런 성취를 기반으로 2022년 한국은 IMU 최상
위
등급인 5그룹으로 한 단계 더 상향됐습니다. ▲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ICM에서 초청강연을 한 오희 교수(왼쪽 하단)와 2010 필즈상 수상자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교수(오른쪽 상단). 제 2의 허준이 교수가 ... ...
[활동지] 그래프 채색 문제부터 케플러의 추측까지, 필즈상 수상자 연구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선을 그을 수 없다는 조건이 추가되면 첫 번째 선 이후로는 두 갈래길 중 하나를 무작
위
로 정해 선을 긋게 됩니다. 이렇게 그은 선을 SAW라고 해요. 뒤미닐-코팽 교수는 n이 커질 때 원점에서 출발한 SAW의 모든 경우의 수의 증가 속도를 연구했어요. 지도를 그래프로 나타내고 4색으로 색칠하자 ... ...
0.05mm로 그린 꽃과 새 통일신라 금속공예 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풀지 못한 수수께끼가 많다. 이 유물의 정확한 사용처와 구체적인 제작방식을 밝히기
위
한 후속 연구는 지금도 진행 중이다. 통일신라 장인의 세밀한 금속 기술을 복원할 날을 기대해도 좋다. ※필자소개어창선. 2007년부터 문화재청에서 근무하며 경주 월성, 충주 누암리고분 등 중요 고고학 ... ...
10년 뒤에도 잘 나갈까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한계에 다다랐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소자의 간격이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단
위
인데 2nm 이하가 되면서 전자의 제어가 힘들어졌다. 반도체를 더 작게 만들기 어려워졌다는 이야기다.대안으로 화합물반도체가 연구되고 있다. 화합물반도체는 두 종류 이상의 원소 화합물로 이뤄진 반도체를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된다고 말한다. 마음과 몸의 관계, 인간과 기계의 차이, 의식의 정체 등을 탐구하는 행
위
자체가 충분히 매력적인 일이라는 것이다. 현재 미국 예일 뉴헤이븐 병원에서 신경과 의사로 일하는 그는 어릴 적부터 마음과 몸의 관계를 탐구했다. 마음과 몸의 관계에 대한 철학자들의 여러 이론들을 보며 ... ...
[이슈2] 알고 건너자! 알쏭달쏭 다리 - 트러스교 편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때 밑변은 바깥으로 벌어지려는 힘인 ‘인장력’을 받게 되지요. 반대로 삼각형을
위
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양쪽 변은 인장력을, 밑변은 압축력을 받게 돼요. 아래 그림처럼 삼각형을 여러 개 겹친 구조에서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번갈아 받지요. 그러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이는 힘이 ... ...
[M 몬스터를 잡아라!] 우리는 무슨 관계일까? 가르기·모으기 변신 몬스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이긴 참가자부터, 모두 더했을 때 10이 되는 수 2개~4개를 칠해요. 더이상 게임판
위
의 수를칠하지 못하는 참가자가 져요. 아래 게임판으로 직접 게임을 해 보세요 ... ...
수학 선진국으로의 도약! 앞으로 한국 수학은?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SCIE급 논문 수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는 논문 수가 약 32.9 (× 백만 분의 일)개로 세계 8
위
에 올랐습니다. [IMU 국가 그룹] IMU는 회원국을 1~5그룹으로 분류해 IMU의 주요 결정 과정에서 자국 그룹만큼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특이한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전례 없이 한 번에 2단계 향상과 ... ...
수상자 6명을 만나다! 24시간이 모자란 시상식 전 날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돼요”라는 멘트까지 날려주셨지요. 알고 보니 필즈상 수상자 소개 영상을 제작하기
위
해 7일 동안 촬영을 하셨다는군요. [PM 8:00] 친절한 메이나드 씨 필즈상 수상자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님은 돌고 돌아 만날 수 있었어요. 서로 원하는 시간이 계속 어긋났거든요. 교수님이 가능한 시간엔 기자가 ... ...
연속한 두 소수 문제의 획기적 발전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묻는 문제입니다. 즉 실수를 유리수로 근사시킬 때의 오차와 관련한 문제입니다.
위
에서 소개한 문제들은 수십 년간 많은 수학자가 도전했지만 오랜 기간 동안 해결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려운 문제에 도전할 때 ‘과연 자신이 이것을 풀 수 있을까’ 하고 자신감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