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금"(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더 많은 연구 결과를 낼 그들의 아들 로바스 미클로시 라슬로와 유발 위그더슨의 연구를 조금 더 들여다볼까요? 두 부자가 모두 같은 분야를?아벨상을 받은 로바스 교수와 위그더슨 교수는 컴퓨터 보안 분야에 이산수학을 적용했습니다. 이산수학은 점과 선으로 이뤄진 그래프나 격자 또는 ... ...
- [매스크래프트] #17. 스타워즈의 날 기념, 데스 스타에 숨어 있는 구의 부피수학동아 l2021년 05호
- 게임 인생 6년 차 퓨처킴. 하지만 마인크래프트는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 조금은 눈치 보이지만 마크의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 데스 스타는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특수 무기입니다. 데스 스타를 보면 어떤 도형이 떠오르나요? 바로 ‘구’입니다. 구는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논리식에 어떤 집합의 원소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묻는 것을 허용해 표현력을 조금 더 강하게 만들면, 제제의 추측이 참임을 증명할 수 있었습니다. 즉 단항 이차 논리식에 집합의 크기가 홀수인지 짝수인지 판별하는 것까지 가능하게 허용되면, 이런 식으로 표현 가능한 문제가 주어질 때 ...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과학동아 l2021년 05호
- 공생하고 있는 수십조 마리 미생물을 바꿔놓기 때문입니다. 장내 미생물은 사람마다 조금씩 다르고, 먹는 음식과 생활하는 환경에 따라 계속 변합니다. 특히 영유아기는 이런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높아지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 제대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한 아이들은 그렇지 않은 아이들에 ... ...
- 확률형 아이템, 게임계 황금알 낳는 거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판매율이 높은 상품 시스템(뽑기 방식) 하나를 잘 개발하면, 그 안의 콘텐츠(내용물)만 조금씩 바꿔가며 여러 종류의 확률형 아이템을 출시할 수 있다.최근에는 데이터 사이언스가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유료 상품 설계가 더 정교해지고 있다. 양성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차세대콘텐츠연구본부 ...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발견된 플로레스섬에서는 꾸준히 새로운 발견이 이뤄지고 있다. 리앙부아 동굴에서 조금 떨어진 마타멩게 유적에서는 역시 작은 몸집을 가진 고인류와 석기가 함께 발견됐다. 작은 몸집의 인류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만이 아니었다. 다만 마타멩게에서 발견된 고인류의 두개골은 발견되지 않았다. ... ...
- [SF 소설] 생명의 노래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나무에 부딪힌 게 분명했다. 오른쪽 다리와 왼쪽 팔이 끔찍하게 아팠다. 몸을 조금만 움직여도 비명이 터져 나왔다. 이새는 그 와중에도 노래의 주인공을 생각하며 이를 악물고 신음을 흘렸다. 오른팔로 땅을 짚고 억지로 몸을 일으켜 나무에 기대앉았다. 시큼한 냄새가 났다. 구르다가 부딪혔는지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드디어 마주친 삐뚤란 범인은 바로 이 안에 있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임무를 완수할 확률은 없다고 생각했는데…. 그나저나 빨리 여기를 떠나자.”“네? 왜요? 조금 더 있으면서 말캉도 먹어보면 안 되나요?”하지만 딱지는 곧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사방에서 그렁그렁한 눈빛을 한 주민들이 다가오고 있었습니다. “우주순찰대면 친절하게 우리 부탁을 들어주겠지 ... ...
- [지사탐 인터뷰] “개화시기 탐사로 식물 다양성을 지켜요!” 소지현 연구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수피가 떨어진 나무의 정체는 바로 모과나무예요. 모과나무는 기자의 눈에 조금 이상해 보였어요. 잎이 하나도 없는 앙상한 나무 끝에 열매 몇 개만 달려 있었거든요. 관심을 두고 나무를 유심히 보자, 소지현 연구원은 겨울에 나무를 분류하는 방법을 설명해 주었어요.“나무를 분류할 때 가장 큰 ... ...
- 예술이 된 우주 / 이달의 천체 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표현한 상상도예요. 마그네타는 강력한 자기장을 갖고 있는 중성자별이지요. J1818은 조금 특별해요. 일반적인 강력한 자기장을 지니는 마그네타의 특징과 함께, 주기적으로 전파를 방출하는 중성자별인 ‘펄서’의 특징까지 갖고 있어요. 이 별을 찾아낸 호주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는 J1818의 비밀을 ... ...
이전6364656667686970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