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
뉴스
"
방대한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지능 기술로 효소 기능 정확히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번호를 예측한다. 이상엽 특훈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DeepEC를 통해 게놈에 존재하는
방대한
효소 단백질 서열의 기능을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알아내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말했다 ... ...
테러 예방 난제, 수학으로 풀어볼까
수학동아
l
2019.06.28
2003년 6월호에 발표하며 수학과 테러 대응 방법을 접목했다. 그는 은밀하게 감춰진
방대한
테러 단체의 연계망을 파괴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부분 순서 집합’이라는 수학적 방법을 이용해 테러 집단의 명령 전달 체계를 파괴하는 것이다. 팔리 교수에 따르면 대다수 테러 단체는 조직원들이 여러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받고 있다. 실제 사례를 영상으로 보니 이해가 갔다. 연구단은 서울 강남구 코엑스 등
방대한
실내 공간을 이 기술로 읽어 가상공간으로 재현했다. 레이저를 레이더처럼 발사해 레이저의 반사 정보를 바탕으로 공간 정보를 얻는 라이다(LIDAR) 기술을 성인보다 빠르게 움직이는 자율주행 로봇에 ... ...
1900년 이후 매년 식물 3종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2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멸종 속도보다 500배 빠른 속도다. 영국 연구팀이 식물에 관한 가장
방대한
문헌 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에일리스 험프리스 영국 왕립식물원 박사 연구팀은 전 세계 종자식물의 정보를 모아 분석한 결과 250여 년간 571종의 식물 종이 멸종한 사실을 알아내고 ... ...
[프리미엄 리포트] 문외한을 위한 시스템반도체 총정리
과학동아
l
2019.06.08
메모리 사이의 병목현상이 발생해 속도가 떨어지고 전력 소모가 크다. 그런데 GPU는
방대한
데이터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병렬 처리 구조다(본디 게임에서 3D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개발됐다). 그래서 다양한 이미지를 통계 처리해 학습하는 딥러닝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제로 비주얼 ... ...
바다밑 미지를 스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7
타고 깊은 바다 밑으로 내려가도 10㎞ 이하로는 가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것도
방대한
바다의 아주 일부분일 뿐이다. 바다 밑 해저 지형의 80%는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다. 현재 전 세계 해저 지형 가운데 20%만이 인간이 사용할 만한 정확도로 제작된 상태다. 인류가 이처럼 깊은 미지의 바닷속의 ... ...
부산 의료 수학 메카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5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수학적 분석기법으로 해결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의료 관련
방대한
데이터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딥러닝 등 수학적 기법을 활용한 융합연구 등 산업 분야별 맞춤지원도 진행한다. 수리연은 지난 5월 초 메디컬ICT융합센터(부산대학교병원 융합의학연구동 5층)에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가 의료용 AI는 알파고 등 다른 AI와 마찬가지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스스로 학습해 새로운 데이터를 만났을 때 이를 정확하게 분석하고 예측하는 역할을 한다. 아직은 개발 초기이므로 학습한 데이터에 대한 의존도가 있다. 그래서 학습한 데이터와 차이가 큰 ... ...
‘엑스맨’ 다크 피닉스처럼 뇌를 조종하려면
과학동아
l
2019.06.02
연결된 신경연결망은 약 860조 개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상조차 어려울 만큼
방대한
신경연결망에서 핵심이 되는 최소지배집합을 찾고, 그 기능을 온전히 밝히는 게 가능할까. 조 교수팀이 100명의 확산텐서영상 자료에서 1억 개의 신경세포를 특정한 뒤, 이들을 온전히 작동시키는 ... ...
"데이터도 꿰어야 보배" 기관 연구결과 모아 난제 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있는 물리학자들은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의 거대강입자가속기(LHC) 실험에서 나오는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 힉스 입자의 존재를 검증했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시범적으로 개발해 운용하고 있는 ‘국가연구데이터플랫폼’ 사업이 올해 본격화된다. 지난 3월 19일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