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겹
켜
지층
계층
플로어
두께
층계
뉴스
"
층
"(으)로 총 2,043건 검색되었습니다.
"2017년 포항 지진 이후 한반도 지진 줄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6
.1 지진이 총 76회 발생했다. 기상청은 “연속지진은 약 500m의 좁은 범위, 지하 20㎞의 깊은
층
에 분포했다”며 “한반도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지진의 특성이며, 특이한 현상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진에 안전지역은 없으며 항상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며 ... ...
누리호의 ‘탯줄’ 제2발사대…지상 45m 높이 우주클럽 데뷔 무대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연료를 주입할 수 있도록 타워 형태로 만들었다. 제2발사대의 지하에는 지하 3
층
에 걸쳐 연료와 산화제를 주입하는 시설이 있다. 이 시설은 52개의 방으로 이뤄져 있고 연면적은 약 6000m2에 이른다. 누리호가 발사되기 전 제2발사대는 ‘엄빌리칼’ 케이블 7개를 누리호에 연결한다. 엄빌리칼 ... ...
한국 엔지니어들이 피땀흘려 개발한 첫 우주로켓 엔진 '이모저모'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시험으로 2단, 3단에 있는 엔진은 이미 연소시험을 마쳤다. 누리호는 엔진을 세
층
에 나눠 탑재한 3단형 발사체다. 엔진을 각 단에 따로 장착한 이유는 발사체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발사체의 가장 아래 있는 1단 엔진이 추진제를 다 소모해 쓸모 없어지면 공중에서 분리해 무게를 줄이고 2단 ... ...
한국, 차세대 태양광 페로브스카이트 공식 비공식 최고효율 기록 획득
동아사이언스
l
2021.02.25
흡수하는 검은색 결정과 그렇지 못한 노란색 결정이 섞여있다.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층
에 브롬을 특정 비율로 섞으면 검은색 결정을 많이 확보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 새로운 소재를 합성했다. 전지가 빛을 더욱 흡수하면 흐를 수 있는 전자가 많아져 전류가 높아진다. 전압과 전류가 높아지면 ... ...
[의학게시판] 미래의학연구재단, 생명과학 분야 네트워크 플랫폼 특허등록 外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통해 이용할 수 있다. ■경희의료원 후마니타스암병원은 22일 서울 동대문구 암병원 1
층
로비에서 ‘고잉 온 다이어리’ 전시회를 개최했다고 23일 밝혔다. 암 환자 18명이 휴대전화 일기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해 기록한 글과 사진들이다. ‘고잉 온’은 암 발병 후에도 환자들의 아름다운 삶이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포스텍 신소재공학부 연구팀이 차세대 고용량 양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 ‘리튬 과량
층
상구조’ 양극 소재의 합성법을 바꿔 500번 충·방전해도 에너지 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양극 소재 개발에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포스텍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야생 벼가 식량 위기 구원투수 될까
2021.02.16
게놈편집기술로 야생 벼의 탈립성 관련 유전자(qSH1) 두 개(CC형과 DD형)를 고장내면 탈리
층
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현미경 사진 아래) 재배 벼처럼 낟알이 익은 뒤에도 붙어있다. 셀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 ...
고래의 노랫소리로 바다 밑 지질도 그린다
2021.02.15
아래 지질
층
은 퇴적
층
과 현무암, 반려암 등 세
층
으로 이뤄진 것을 확인했다. 퇴적
층
의 두께는 약 500m, 그 아래 현무암 두께는 1800m인 것도 확인됐다. 참고래 노랫소리가 탄성파 역할을 한 셈이다. 참고래의 노랫소리는 세기도 크지만 장시간 지속성도 있어 본격적인 지질 측정에 활용할 수도 있다 ... ...
1만번 접었다 펴도 '괜찮아'…접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기존에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사례가 있었지만, 표면이 거칠어 균일한
층
을 형성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표면을 부드럽게 만들 수 있도록 탄소나노튜브의 틈을 폴리이미드로 채워 표면 거칠기(RMS)가 0.44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매우 부드러운 표면을 만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해는 한때 담수로 차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6
알아내는 데 도움을 준다. 분석 결과 토륨-230은 북극해와 북유럽해의 중심부 여러
층
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바닷물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연구팀은 빙붕이 댐의 역할을 하며 대서양과 북극해·북유럽해의 수역을 분리하고 7만~6만2000년 전과 15만~13만1000년 전 두 기간에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