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스페셜
"
분리
"(으)로 총 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창업하려면 잘하는 것에만 집중하세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6.08
카이텍(KAITEC)이다. 카이텍은 1997년부터 2006년까지 10년간 운영되었고 이후 UMI와 앤스코로
분리
된다. 하던 일을 그대로 가져가는 연구원 창업 형식이었지만 모두가 만족하는 모습은 아니었다. 기존 연구원 60여 명의 인원 중에서 달랑 25명만 창업에 참여했다. 사용하던 장비도 모두 잔존 가격으로 ... ...
미지의 뇌 연구: 기억과 의사결정, 시간 지각의 비밀을 찾아서
IBS
l
2016.04.04
역할에 관한 주류 이론은 치상이 뇌에 들어오는 독립적인 정보들을 서로 다른 것으로
분리
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입니다. 이와는 달리, 우리는 치상이 감각 정보의 통합에 관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우리가 사건을 정확히 기억하기 위해서는 시각, 청각, 몸의 움직임 등 여러 감각 정보가 통합되어야 ... ...
포기는 없다. 눈앞 문제부터 해결해 살아남으라.
IBS
l
2016.03.03
촉매 위로 하이드라진을 한 방울씩 떨어뜨려 수소와 질소의 결합을 끊는다. 이렇게
분리
된 수소를 태워 물을 얻어낸 것이다. "알고 보니 마크 와트니가 사용한 방법은 실제로 하이드라진 로켓추진제의 작동방식이더군요. 원작 소설에도 나오지만, 사실 이 방법은 위험하기 짝이 없습니다. 폭발로 ... ...
한국은 글로벌 연료전지 테스트베드
동아사이언스
l
2016.02.24
1.7kW급을 개발했으며 현재는 용량을 2kW급까지 늘렸다. 이 회사는 연료전지에 들어가는
분리
판을 개발해 연료전지 자동차(투싼ix), 가정용 연료전지에 사용하고 있다. 스택의 국산화와 수소연료전지차 양산모델 출시에 일조한 셈이다. 양 PD는 “(주)두산 퓨얼셀BG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에서 나오는 ... ...
영국 과학, 스타일이 살아있네~
2016.02.23
문제가 있고 훗날 낳을 자식도 문제가 생긴다. 이때 난자 또는 수정란 상태에서 핵을
분리
한 뒤 미토콘드리아 게놈이 정상인 난자에서 핵을 빼낸 뒤 여기에 집어넣어주면 미토콘드리아가 건강한 난자 또는 수정란으로 바뀐다. 다만 모계의 핵게놈과 미토콘드리아게놈의 수여자가 다르기 때문에 결국 ... ...
레이저가 보여주는 전자들의 흔적을 찾아
IBS
l
2016.02.02
빛인 고차조화파가 발생합니다. 이를 통해 외곽에 존재하는 전자 궤도 2개의 특성을
분리
해 관측하는 데 성공했죠. 아트 인 사이언스 출품작은 분자 내 다양한 전자 궤도 중 외곽 궤도 2개가 분해된다는 연구결과를 소개하기 위해 만들었습니다. 2011년부터 4년간 노력한 결실이기도 했죠.” 그는 이 ... ...
퇴직연금 과세 대 분석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운용수익에 대해서는 연금소득세율(3.3~5.5%)로 세금이 부과된다. 이 경우 금액과 상관없이
분리
과세로 과세가 끝나기 때문에 종합과세를 걱정할 필요도 없다. ... ...
소리 없이 강하다, 잇몸질환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5.12.29
염증으로 깊고 넓게 파괴된 경우에 사용한다. 국소마취 후 잇몸을 절개해 치아와 잇몸을
분리
한 뒤 괴사한 조직을 제거하고 치조골을 다듬거나 이식하는 방법이다. 이 밖에도 치조골이 망가진 경우 골 이식술을 통해 치조골의 재생을 유도하거나 치아 뿌리를 덮고 있는 백악질을 재생하는 수술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4)레이저를 발명한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
2015.12.24
지원했지만 떨어지자 듀크대에서 석사학위를 받고 재도전해 입학한 뒤 1939년 동위원소
분리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벨전화연구소에 취직한 타운스는 2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레이더 연구를 했고 1948년 컬럼비아대 교수가 됐다. 전시에 행한 레이더 연구를 바탕으로 타운스는 1951년 마이크로파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대뇌피질뉴런 구조를 밝힌 뇌과학자 ‘버논 마운트캐슬’
2015.12.23
어떤 뉴런은 관절이 움직일 때만 반응했던 것. 이들 뉴런은 각각 수직적인 조직으로
분리
돼 있었는데, 그는 이를 피질기둥(cortical column)이라고 불렀다. 마운트캐슬은 신피질이 이런 국소적인 회로의 반복단위로 이뤄져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사실을 담은 그의 1957년 논문은 뇌과학의 기념비적 ... ...
이전
63
64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