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
과학동아
l
199909
광증폭기는 1백가지의 빛을 증폭해 3백만 회선을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 김
교수
는 “안정성을 확보한 제품이 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겸손해 하면서도 2003년 북미 전자동 광증폭기 수출시장 규모가 10억 달러라며 연구의 경제적 기술적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목소리를 높인다 ... ...
로그
과학동아
l
199909
인용되는데 실제로는 진실이 아니다. 밑이 10인 상용로그는 런던 그레셤 대학의 기하학
교수
였던 브리그스(Henry Briggs, 1561-1631)의 제안에 따라 탄생했다. 지수 함수를 배운 뒤 이의 역함수로 로그 함수를 배우지만, 역사적으로는 로그가 지수보다 먼저 등장했다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09
설립되면서 그 일이 실현된 것이다. 단계별로 4개팀을 짜고 각 팀에 2-3명의
교수
가 소속돼 자신들의 전문 지식을 최대한 공유하는 시스템이 약학대학 내에 만들어졌기 때문이다.외국의 약품을 모방하는데 그쳐온 관습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항암 메커니즘을 발견하려는 ‘과감한’ 시도가 이뤄지고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09
현상인지에 대해서는 확정하기 어렵다는 의견을 제시했다.서울대 대기과학과 강인식
교수
는 “한반도의 기후 특성, 특히 여름철 강우 특성이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이것이 완전한 기후특성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인지는 아직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고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아무튼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09
지키려는 사람들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이 때도 이런 ‘반대자’로 뮌헨대학의 의화학
교수
이자 사회위생학 분야를 이끌던 막스 폰 페텐코퍼가 있었다. 페텐코퍼는 세균감염설을 믿지 못하고 감염설의 허구를 증명하고자 노력했다.그는 1892년 함부르크에서 콜레라가 크게 유행할 때 공개 행사를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08
제품. 여기에 라이브용 앰프인 ‘프로 라이브’도 힘을 보태고 있다.조
교수
는
교수
벤처 시대의 문도 처음 열었다. 바로 오디오 앰프를 제작하는 벤처기업인 ‘A 탄카멘’을 창업한 것이다. 박사과정에 있는 제자 10명이 직원이고 한국과학기술원 전자동의 40평, 영상동의 15평 남짓한 공간이 공장이다. ... ...
월남 파병의 대가로 생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과학동아
l
199908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조건 위에 설립됐다. 연구원의 월급은 국립서울대
교수
의 3배에 이르렀고, 외국에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을 데려오기 위해 국내에 있지도 않은 의료보험을 미국과 계약해주었다. 또 연구소의 독립성을 보장받기 위해 회계감사와 사업계획 승인을 받지 않는다는 내용도 ... ...
실험실의 풀러렌 자연에도 존재한다.
과학동아
l
199908
자연에도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왔다. 이번 연구에서 하와이 대학의 베커
교수
와 연구진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지는 풀러렌을 얻었다. 고체 상태를 유지하는 흑연이나 다이아몬드와 달리 풀러렌은 유기용매에서 추출됐다.베커는 운석 조각을 부수어 넣은 유기 용매에서 풀러렌을 추출할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08
의뢰해 공룡알이라는 판정을 받았다. 두번째 공룡알화석 역시 양
교수
가 찾아냈다. 양
교수
는 1996년 같은 장소에서 6개 이상의 공룡알 파편이 회색 이암(泥岩) 속에 박혀있는 것을 발견한 것이다. 그리고 최근 전남 보성과 경기 시화호에서 공룡알화석이 무더기로 발견돼 공룡알 연구에 청신호가 되고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08
옮기면서 토머스 존 왓슨연구센터로 이름을 바꿨다.1944년 5월 하버드대학
교수
인 하워드 에이킨(1900-1973)은 IBM과 해군으로부터 50만달러를 지원받아 미국 최초로 전기기계방식의 대형컴퓨터인 마크 1호를 선보인 바 있다. 그런데 하버드대학에서 공식발표를 하는 자리에서 에이킨은 큰 실수를 범하고 ... ...
이전
677
678
679
680
681
682
683
684
68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