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07
레이저를 처음 생각한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1915-). 1951년 컬럼비아대학
교수
로 있던 시절 그는 진공관으로 만들 수 없는 매우 높은 주파수의 전자파를 찾으려고 노력했다. 만약 이를 얻기만 한다면 정확한 측정은 물론 물리학과 화학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생각했다.그에게 연구의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07
한다.그렇다면 황구는 정말로 식용으로 선호할 만한 개일까. 서울대 수의학과 윤화영
교수
는 같은 품종이라도 털의 색깔에 따라 육질이나 영양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다만 혈연관계가 복잡한 똥개(잡종)의 경우 부모의 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는 있다. 조선후기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07
만들어가는 방법이 너무나 명쾌하고 간단해 초등학생도 이해할 정도라는 것이다. 한상근
교수
는 "전문 수학자가 조금 더 고민해보면 일반식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한 지금까지 나온 합이 조금씩 다른 지수귀문도의 배열들을 종합해 볼 때 아마도 마방진과 마찬가지로 지수귀문도도 ... ...
분홍색 블랙홀 발견
과학동아
l
199906
확실하다. 분홍색 빛은 블랙홀 바깥쪽에 있는 가스로부터 나오는 것 같다.” 프랜시스
교수
의 말이다. 아마도 블랙홀 주면의 성간물질, 가스 등이 블랙홀의 입구로 소용돌이쳐 들어가며 강력한 분홍색 빛을 발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06
특성으로 볼 때 카이퍼벨트의 천체라는 것에 이견이 별로 없다는 것이다. 이시우
교수
는 “만일 명왕성이 궤도를 약간만 달리 잡아 태양 가까이로 오게 됐다면 아마 혜성이 돼 사라졌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국제천문연맹은 지난 2월 명왕성을 소행성으로 재분류하지 않고 전통적인 방식으로 ... ...
에디슨이 전기의자를 만든 이유
과학동아
l
199906
해도 선전활동으로 가장 잔인했던 일은, 뉴욕주의 교도소에서 사형집행방식으로 기존의
교수
형 대신 고압의 교류를 쓰는 '전기의자'를 채택하도록 로비를 벌인 것이다. '전기의자'는 예전에 에디슨이 직접 개발한 것인데, 에디슨은 결국 사형집행을 하는데 전기의자 방식을 채택하게끔했고, 이를 ... ...
동강의 땅 밑이 심상치 않다
과학동아
l
199906
있는 사안 가운데 과연 지진에 대한 대책이 반영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특히 이진한
교수
(고려대 지질학과)는 “제대로 활성단층에 대해 연구하고 내진설계를 하려면 다양한 전문가들이 집중적인 지원을 받으며 매달려도 최소 1년 이상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평가단의 구성 역시 ... ...
1기 수료생 배출한 과학영재교육센터
과학동아
l
199906
지난 4월부터 제2기 학생들을 맞아 1년간의 프로그램을 새롭게 운영한다.
교수
들의 열의와 지역 사회의 관심이 어우러져 과학영재교육의 초석은 다져졌다고 봐도 좋다. 하지만 정말 중요한 교재 개발, 프로그램 개발은 이제부터가 시작이다. 나중에 학교에서 배워야 할 것을 미리 배우는 것에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06
다른 곳과 비교할 수 없는 맨 파워가 있기 때문이다”고 힘주어 말한다. 미국에서는 지도
교수
가 연구원 한 명과 연구를 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그리 만만치 못하다. 그에 비하면 능력있고 의욕넘치는 학생들이 돈을 내며 배우겠다고 하는 국내 상황은 어쩌면 또다른 ... ...
과학자들이 펼친 죽음의 안무
과학동아
l
199906
보내다 1946년 8월 삶을 마감했다. 질라드는 전공을 생물학으로 바꿔 시카고대학 생물학과
교수
가 됐다. 페르미와 텔러(1908-)는 수소폭탄(열핵폭탄) 개발에 착수해 1952년 완성했다.오펜하이머는 유명인사가 됐지만, 핵폭탄으로 받은 충격에서 헤어나지 못했다. 트루먼 대통령을 만나는 자리에서 그는 ... ...
이전
679
680
681
682
683
684
685
686
6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