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역
범위
방면
지역
영토
장사
기량
d라이브러리
"
분야
"(으)로 총 7,602건 검색되었습니다.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함께 일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된다. 현재 우리 사무소도 부족하나마 4명이 함께 모여 서로
분야
를 나누어 일하고 있다.본질적으로 변리사란 번역자와 상당히 비슷한 속성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번역자는 하나의 언어로 된 사상을 다른 언어로 구체화시키듯이, 변리사는 발명자의 기술적 사상을 ... ...
장거리전송 가능한 광섬유 증폭기개발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제주 성산포와 전남 고흥을 잇는 해저광케이블 공사가 지난 4월부터 시작되자 광섬유
분야
는 새롭게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연구팀은 네오디뮴 외에 비슷한 천이원소인 에르븀으로 다른 증폭기를 개발중이며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고성능레이저개발에도 착수했다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한 것이다. 물리연구소에서는 이것을 실용화하는 작업을 맡는 것이다.세째는 기초연구
분야
로 이것도 긴 안목으로 세운 계획이다. 이 계획도 응용할 배경이 있는 부문에 힘을 쏟도록 했다.중국의 과학기술부문 예산은 국민총생산의 1%이며 그중 기초연구부분이 차지하는 몫은 5%이다.중앙정부는 GNP의 ... ...
인간의 수명한계는 115~120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아직도 인간의 수명한계인 1백20세까지 장수하기에는 요원한 단계이다. 앞으로 계속 이
분야
의 연구와 투자가 이루어져 하루속히 인간 수명 한계인 1백20세까지의 인생을 누구나 즐길 수 있어야 할 것이다.나의 여명(餘命)은?현재 세계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생명보험 회사의 평균여명표(표1)에 의하면, ... ...
인공장기 시대를 여는 신소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할 예정이다.무릎관절과 더불어 인체의 보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고(股)관절
분야
도 인공장기의 주요 대상. 우리나라에서는 경희대 정형외과팀과 과학기술연구원팀이 공동으로 인공고관절연구를 진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화상에 의한 피부손실을 해결하기 위한 인공피부도 활발히 개발되고 ... ...
책의 혁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모르는 사이에 전자출판은 출판·신문
분야
에 깊숙이 파고 들고 있다.미래의 출판물과 신문은 그 제작방식에서 형태에 이르기까지 크게 변모할 것으로 예상되고 또 그렇게 변화되고있다.PARTⅠ에서는 전자출판의 개념과 미래의 출판형태를 PARTⅡ에서는 신문제작에 주로 이용되는 CTS시스팀에 관해서 ... ...
part I 컴퓨터가 바꿔놓은 출판문화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높은 형태이다. 영어회화테이프나 TV과외비디오테이프처럼 컴퓨터를 이용한 교육(CAI)
분야
에서 학습물로 상품화 하려는 시도를 몇몇 대형출판사에서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CD롬은 지름 12cm, 두께 1.2mm정도 크기에 종이책 2천4백페이지 분량의 정보를 수록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일본에서 60여종이 ... ...
누가 슈퍼컴퓨터를 지배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발표해 사실상 이
분야
에서 철수했다. 막대한 기술개발투자가 뒷받침돼야 하는 슈퍼컴
분야
에서 크레이에 대항하기도 역부족인 상황에서 일본업체들로부터 협공을 받아 CDC는 더이상 버티기가 힘들었던 것.크레이리서치와 CDC는 합의를 통해 ETA10과 크레이제품을 접속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 ...
서방측의 기술원조 간절히 원하는 베트남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서방측과의 협조를 적극 추진하고 있어 앞으로 서방기업의 진출은 물론 교육·과학
분야
에 대한 무상 원조도 상당히 기대할만하게 됐다. 베트남 과학아카데미는 "공산화 이후 과학진흥정책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으나 읽어볼 책이 거의 없고 실험기재는 더욱 부족한편"이라며 미국과 서유럽구가들의 ... ...
배와 조선산업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을 뿐이다. 조선공업의 장래가 밝다는 근거로 PART I 에서는 새로운
분야
, 즉 첨단선박들을 살펴보고 PART II 에서는 조선공학도가 보는 한국조선산업의 장래에 대해, 그리고 PART III에서는 역사상에 나타났던 대형선박들을 소개한다 ... ...
이전
681
682
683
684
685
686
687
688
6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