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학"(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눈으로 본 물건을 말로 설명하는 인공지능 세계 첫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6.12.08
- 교수가 자신이 3월에 공개한 뽀로로봇을 안고 있다. - 서울대학교 제공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장병탁 교수팀이 사물을 인식해 음성으로 설명할 수 있는 인공지능 ‘시각 챗봇’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스스로 시각 정보를 해석한 뒤 언어로 표현하는 인공지능이 개발된 건 세계적으로도 처음이다. ... ...
- 골치아픈 당뇨환자 상처, 붙이기만 하면 4배 빨리 낫는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6
- 잘 낫지 않는 환자에게 큰 보탬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동욱 부산대 광메카트로닉스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순도 98%의 녹차 추출물과 보습물질 히알루론산을 이용한‘창상 피복재’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연구진은 전기방사법을 이용해 녹차의 항산화 성분인 ‘에피칼로카데킨 갈레이트 ... ...
- ‘꿀잠’을 파는 가게? 건강에 도움되는 ‘수면테크’동아사이언스 l2016.12.06
- 자는 경우에는 체압을 분산시켜 척추에 무리를 주지 않는 바디형 베개 등 최근에는 인체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만든 다양한 베개들이 인기다. 수면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반영하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베개를 선택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본인이 가장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베개를 ... ...
- 모든 액체에 젖지 않는 테이프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6.12.06
- 제공 어떤 종류의 액체에도 젖지 않는 테이프가 개발됐다. 미국 콜로라도주립대 기계공학과 아룬 코타 교수팀은 ‘슈퍼옴니포빅’의 성질을 가진 필름을 만들었다고 발표했다. 슈퍼옴니포빅은 물, 기름과 모두 결합하지 않는 성질이다. 연구팀은 이 필름을 만들기 위해 유리 슬라이드에 수용성의 ... ...
- 투명한데 휘어지기까지… 신기한 반도체 등장동아사이언스 l2016.12.06
- 제공 자유자재로 휘어지는 투명 반도체가 개발됐다. 이광희 광주과학기술원(GIST)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은 종이처럼 휘어지면서도 가시광선 투과도가 100%에 가까운 그물망 구조의 반도체 재료를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연구진은 반도체의 새로운 소재를 찾던 중 ‘디케토피롤로피롤 기반 반도체 ... ...
- 할아버지가 만든 롤러코스터 ‘인기’팝뉴스 l2016.12.06
- 난다. 스릴을 만끽하는 손주들의 얼굴에는 밝은 웃음이 번진다. 정확한 수학적 계산과 공학 기술이 없으면 제작할 수 없을 것 같다는 평가가 많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 1000조 분의 1초 잡는 ‘초정밀 광센서’ 개발 가능해졌다동아사이언스 l2016.12.04
- 전자기기 개발에 필요한 기초기술을 개발했다. 최현용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사진)팀은 빛이 머리카락을 통과하는 정도의 짧은 시간 동안 전기적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개발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연세대 제공 레이저 빛은 전자기장이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 ...
-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12.01
- 전자현미경을 이용해서 표면 구조와 패턴 등을 파악한다. 특히 종자 표면의 특성은 재료공학에서 자연모방기술 등으로 활용할 수 있고, 섬유 산업이나 패션 디자인에도 응용 가능성이 높다. 이 연구원은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해 보면 작은 종자일수록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걸 알 수 ... ...
- KAIST가 화났다… 美서 삼성에 특허권 침해 소송동아사이언스 l2016.12.01
- 요구하는 특허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KAIST 측은 이 기업들이 이종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와 KAIST가 공동으로 보유한 반도체 기술 특허권을 무단 도용했다고 주장했다. 강인규 KAIST IP 대표는 “3개 회사와 오랜 기간 특허 사용권 계약 체결을 위해 노력해 왔지만 지속적으로 협상이 결렬돼 ... ...
- KAIST 학생팀, 미국화학공학회 주최 ‘케미카’ 대회 우승2016.11.30
- 우승을 차지했다. KAIST는 11월 13일 세계 41개 대학이 참가한 대회에서 생명화학공학과 차영현(21), 신진솔(21), 오대석(22), 김완태(22) 학생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대회는 화학기술 향상을 목적으로 1999년부터 개최돼 온 국제 대회다. 화학반응을 이용해 소형 전기자동차를 2분 이내에 ... ...
이전6826836846856866876886896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