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뉴스
"
공학
"(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공기 속 ‘초미세 바이러스’ 찾아내는 법 알아냈다
2016.11.21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기계및원자력
공학
부 교수팀은 정전기를 이용해 바이러스를 포집하는 ‘전기식 바이러스 농축기’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바이러스 농축기는 공기 중에서 바이러스만 채집할 수 있도록 만든 장치다. 공기 중의 ... ...
태반주사, 줄기세포 주사 맞으면 몸이 어떻게 변할까?
2016.11.19
공과대학 전기정보
공학
부 부교수. 의대를 졸업한 안과 전문의지만, 공대에서 의
공학
을 연구하고 있다. 현재 연구와 함께 서울대병원에서 환자를 진료하고 있으며, 대한검안학회 학술이사와 보건산업진흥원 융합연구 자문위원 등을 맡고 있다. ... ...
'완전 자율주행' 아이오닉 일렉트릭 첫 공개…美기준 '레벨 4'
포커스뉴스
l
2016.11.18
아이오닉 일렉트릭 자율주행차는 전기차 기반의 완전 자율주행 콘셉트카로 미국자동차
공학
회(SAE)의 자율주행 기준 레벨 중 완전 자율주행 수준을 의미하는 최종 단계(레벨 4)를 만족시켰다. 아이오닉 자율주행차를 내년 1월에 열릴 CES에서 실제 주행을 선보일 예정이다. 현대차 미국법인 ... ...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단어 입력… ‘뇌 임플란트’ 시대 오나
2016.11.18
연구팀은 현재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이성환 고려대 뇌
공학
과 교수는 “뇌 임플란트 기술을 포함해 다양한 BCI 기술이 있지만 주로 사지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돼 시장이 크지 않았다”며 “인공청각, 인공시각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되면 보다 연구가 활발해질 ... ...
좁은 골목길 누비는 자율주행차 ‘스누버2’ 직접 타보니
2016.11.16
있는 사람을 알아봤기 때문이다.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전기전자
공학
부 교수) 연구팀은 도심형 자율주행자동차 ‘스누버(SNUver)2’를 15일 서울대 관악캠퍼스에서 공개했다. 스누버2는 지난해 개발된 스누버를 업그레이드한 것으로, 좁은 골목길이나 빌딩 사이, 터널 등에서 ... ...
방사선 쪼여 태양전지 수명 2.5배 늘렸다
2016.11.15
개발했다. 정찬희 한국원자력연구원 선임연구원팀은 나석인 전북대 유연인쇄전자
공학
과 교수팀과 공동으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수명을 2.5배 가까이 늘리는 데 성공했다고 15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는 효율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해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대체할 차세대 ... ...
페인트만 발라두면 열이 전기로 바뀐다
2016.11.15
발전시스템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를 이끈 손재성 UNIST 신소재
공학
부 교수(오른쪽)와 제1 저자인 박성훈 연구원(왼쪽)의 모습. - 울산과학기술원(UNIST) 제공 ... ...
쥐꼬리 예산…숨막힌 미세먼지 대책
2016.11.14
연구기획위원회의 박기홍 미래부 초미세먼지피해저감사업단장(광주과학기술원 지구환경
공학
부 교수)도 “당초 기획한 예산은 7년간 3000억 원 규모로 연간 428억 원 수준이었다”며 “2017년 예산으로 책정된 100억 원에 4대 기술개발 분야가 모두 포함돼 있는 현 상황에서는 실질적인 계획 실행이 ... ...
원전-터널 균열 부위가 저절로 메워진다면
2016.11.11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2001년 스콧 화이트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항공우주
공학
과 교수팀이 처음 개발한 방식이다. 액체 화합물을 머리카락 굵기 정도로 작은 다량의 캡슐에 넣고, 이를 다시 플라스틱과 섞어 굳힌 형태다. 플라스틱에 균열이 생기면 캡슐에서 화합물이 새어 나와 빈틈을 메운다. ... ...
구글 AI "다음 목표는 스타크래프트2"
2016.11.11
네 가지 항목으로 정보를 분리하는 인공지능 동영상을 공개했다. 김경중 세종대 컴퓨터
공학
과 교수는 “이처럼 ‘분산 처리’ 방식을 도입하면 컴퓨터 시스템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마지막 차이는 의사 결정 속도다. 알파고는 이세돌 9단과 대결할 당시 한 수를 놓을 때마다 1분 ... ...
이전
684
685
686
687
688
689
690
691
6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