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가 돼 보실래요?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노력해도 신뢰도 100% 시스템은 없습니다. 윤리적으로 고민해야 될 문제가 생길 수 있죠. 때문에 사이버물리시스템이 우리 삶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과학자뿐만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고민이 필요합니다” ... ...
- [Tech & Fun] ‘정상성’에 대한 의문, 토마스 쿤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인류가 달의 모양이 바뀐다는 사실을 안 순간부터 50년 전 닐 암스트롱이 달 표면을 밟을 때까지, 장구한 천문학의 역사를 되짚는다.이 책이 특별한 건, 이 발견들을 직접 실험하면서 체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점이다. 천체 사진가이자 우주 칼럼니스트인 에마뉘엘 보두엥과 물리학 교수 카트린 ... ...
- D 바이오브릭, 내 맘대로 생물체를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방법을 찾는 것과 동시에 합성생물이 가져올 위험에 대해서도 고민하고 있답니다.어때? 작은 블록 속에도 엄청난 과학들이 숨어 있지?그런데 말이야, 어과동 친구들은 합성생물학 기술로 지구상에 없던 새로운 생물을 만들어내는 연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전기가 통해요. 컬러점토 안에도 전해질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에요. 기자단 친구들은 컬러점토와 밀가루 반죽을 이용해 멋진 모형을 만들었답니다. 김현아 친구의 당근, 이준서 친구의 꽃, 최수호 친구의 UFO에 건전지와 LED전구를 꽂자 환하게 불이 켜졌죠.손에 밀가루를 ... ...
- [지식] 달콤 쌉쌀한 진실, 공평하게 케이크 나누기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케이크 분배 방법을 담은 논문을 올린 겁니다.지난해 두 수학자는 사람 수가 4명일 때 최대 203번 칼질하는 방법을 제시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어서 올해 사람 수가 n명으로 늘어나도 공평하게 나눌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 겁니다.물론 이 방법이 실제 상황에 도움이 되지는 않을겁니다. 방법 ... ...
- Part 2. 마녀와 악마의 곡선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생겼어. 그래서 디아볼로라고 불리다가 악마를 뜻하는 디아볼로라고 오해한 사람들 때문에 악마의 곡선으로 굳어진 거야. 내가 싫은 게 아니라면 사람들에게 이 곡선도 소개해 줘. 외로운 악마에게는 자식 같은 존재란 말이야.”갑자기 친절해진 벨페고르에 안심한 천사는 비밀의 집 이곳저곳을 ... ...
- [공모전] 우리 문제는 우리가 해결한다! 행복한 과학기술 공모전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송승우 학생은 “아두이노와 앱인벤터를 가지고 밤새도록 씨름하면서 포기하고 싶을 때도 있었지만, 다 같이 노력해서 만든 프로그램이 성공적으로 실행되자 정말 큰 성취감을 느꼈다”고 소감을 말했어요.SUGAR의 ‘범죄예방알리미’중동중 3학년 친구들이 모여 지역별 범죄율을 나타내는 앱도 ... ...
- [재미] 내 손으로 뚝딱, 나도 게임개발자!수학동아 l2016년 09호
- 수학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캐릭터가 동굴에 들어간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때 캐릭터가 정말 동굴에 들어간 것처럼 보이려면 빛이 가장 중요해요. 빛이 어떻게 들어와서 어떻게 반사할 것인지는 모두 수학적인 계산입니다. 또, 여러분이 게임을 제작하는 데 쓴 게임 샐러드도 다른 사람들이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때문에 색이 혼합돼 표시됐습니다. 또한 몸을 움직이거나 업무를 하는 등 활동을 할 때 반응하는 조정신경망(Task-positive Network)영역은 밝게, 가만히 공상을 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등 휴식 중 반응이 나타나는 디폴트 신경망(Tasknegative Network) 영역은 어둡게 표현됐죠.이 뇌 지도가 완벽한 것만은 .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Bifidobacteriaceae ) 계통군에 속하는 미생물은 최소 15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조상 때부터 장속에 있었다. 이 공통조상이 훗날 여러 개의 종으로 차례차례 분화될 때, 미생물 종도 함께 분화되면서 각자장 속에서 진화해왔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장내미생물들은 숙주 종이 수만 세대를 거치는 동안 ... ...
이전6846856866876886896906916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