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간
경우
타임
시각
더러움
얼룩
오물
d라이브러리
"
때
"(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하죠. 그런 수고로움에도 불구하고 독도를 계속 찾는다는 건 독도만의 매력이 있기
때
문이 아닐까요.” 독도 조사팀은 해양수산부 연구사업으로 1년에 2~3번씩 10년 넘게 독도를 연구해 왔다. 그 덕에 독도의 3차원 지형도가 완성됐고, 탄소연대를 측정해서 독도의 형성 과정을 조사하는 연구도 ... ...
Intro. 장내미생물이 제2의 게놈?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잘 나갔던 건 아니었다. 데뷔 초인 1500만 년 전, 유인원의 공통조상이 인간으로 분화될
때
함께 분화해 본격적인 공생을 시작했던 사실도 최근에야 알려졌으니 말이다(1파트).긴 무명생활을 청산한 건 ‘유산균’ 덕분이었다. 19세기 러시아의 생물학자 메치니코프가 장내미생물의 건강영향을 집중 ... ...
PART 1. 장내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Bifidobacteriaceae ) 계통군에 속하는 미생물은 최소 1500만 년 전에 살았던 공통조상
때
부터 장속에 있었다. 이 공통조상이 훗날 여러 개의 종으로 차례차례 분화될
때
, 미생물 종도 함께 분화되면서 각자장 속에서 진화해왔다는 뜻이다. 대부분의 장내미생물들은 숙주 종이 수만 세대를 거치는 동안 ... ...
[Knowledge] 패배는 있어도 패배자는 없다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정해져 있다고 생각했다. 각 식물마다 생장, 번식 등과 관련한 고유의 경쟁력 값이 있기
때
문에, 어느 지역에서나 우수한 종은 계속 우수하다는 것이다. 이를 ‘평행설 이론’이라고 한다. 그런데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이 생각에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그 지역에서 완전히 사라질 것이라고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대개 혼자 생활한다(물론 젖먹이 새끼가 있을
때
는 예외다). 이처럼 비밀스러운 습관
때
문에 야생 상태에서의 느림보원숭이의 생활사는 아직까지 상당 부분이 베일에 가려져 있다. 우리와 유사한 DNA서열을 가졌으면서도 저런 놀라운 구조와 능력을 가졌다니! 약간의 유전공학적 도움을 받으면, 우리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 유전자를 제거하면 손가락과 손목이 생기지 않는다. 그 뒤 제브라피시가 성체가 될
때
까지 키우며 지느러미를 관찰했다.실험 결과, 유전자가 제거된 제브라피시에서는 지느러미 가시가 제대로 생기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신 손목뼈 말단에서 지느러미 가시로 연결되는 부위의 ... ...
PART 1. 바벨탑은 무너져야 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구조는 안정적이지만 위로 갈수록 기둥의 높이가 줄어들기
때
문에 높이의 한계도 명확하다. 이 교수는 “만약 그림 속 바벨탑을 같은 방식으로 계속 쌓는다면 11~12층 정도에서 건설을 멈출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한 층의 높이를 넉넉하게 15~20m로 잡는다고 하더라도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터널의 서늘한 기온을 이용한 것이다. 1905년 경부선 철도로 개통됐지만 급한 경사
때
문에 1937년 폐 터널이 된 경북 청도군의 남성현 터널은 감와인 저장 창고로 쓰인다. 경남 사천시의 솔티 터널 역시 와인 갤러리로 사용되고 있다.또 하나 유용한 방법은 데이터 센터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대용량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같은 무언가.문이 열렸다. 은경은 문틈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다. 사람이 나왔다. 체중계
때
문에 삐딱하게 선 상자에서 나와 삐딱하게 첫 걸음을 내딛고는 맥없이 바닥에 쓰러져버린 외계인. 시선이 저절로 손가락 쪽을 향했다. 다섯 개씩이었다. 여섯 개가 아니었다.그 사람이, 마치 인간 여자처럼 ... ...
미션 1. 먼 바다의 쓰레기를 치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이용하라해양쓰레기는 해류를 따라 계속 이동하기
때
문에 청소하기가 쉽지 않아요. 그런데 이 단점을 반대로 이용해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아이디어를 낸 사람이 있어요. 바로 네덜란드의 17세 청년인 보이얀 슬랫이 그 주인공이랍니다.보이얀 슬랫은 바닷물이 흐르는 규칙을 찾으면 ... ...
이전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