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때"(으)로 총 22,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FBI 요원도 모르는 ‘시체 수습 매뉴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➍). 수습 도중 새로운 증거물이 발견될 수 있으니 기록 담당자는 수습이 완료될 때까지 현장에 남아야 하고, 지면에 남은 게 없다는 사실도 사진으로 기록해야 한다.이렇게 복잡한 절차를 거쳐 철저하게 기록을 남겨야 사소한 단서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적절한 절차를 따르지 않은 기록은 나중에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2014년까지 공식적으로 보고된 파충류의 종류는 1만 38종. 이중 약 30%가 우리 인류 때문에 멸종할 위기에 있다. 비록 핀타섬육지거북은 지키지 못했지만 아직 우리의 도움이 필요한 수백 종의 파충류들이 남아 있다. 3억1000만 년 된 이들의 이야기가 지금 끝나기에는 너무나도 아깝다. 여러분의 관심이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있다. 미토콘드리아 DNA를 채취하기 위해 세포를 깨는 데 필요한 시약, DNA를 전기영동할 때 필요한 염색약, 기본적으로 쓰이는 완충용액 2~3종 등이 더 필요하다.➒ DNA 전기영동기 가격 : 40만 원전압기와 아크릴판으로 쉽게 만들 수 있지만, 안전을 고려해 중고로 구입하기로 했다. 전기를 이용해 DNA를 ... ...
- [Tech & Fun] 전자를 가속시켜 깨끗한 물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이용해 환경오염을 처리했지만, 이 방식은 속도가 느리고 방사성 물질을 이용하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며 “반면 전자빔 기술은 오염물을 한꺼번에 많이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사성 물질을 쓰지 않아 안전하고 편리하다”고 말했다.안전한 물, 전자빔으로 완성개도국이 안전한 물을 ... ...
- [Career] “잘 늙고 잘 사는 법, 식물에게 배우죠”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설명했다. 이렇게 보면 식물의 노화는 식물이 터득한 중요한 진화적 전략이기에 제때에 잘 늙는 것이 아주 중요하다. 따라서 남 펠로우는 식물의 노화도 분명히 유전자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특히 유전자에 의한 식물의 노화 조절 방법에 관심을 기울였다.주제는 정했지만 실제로 연구를 ... ...
- [Career] “ 공학이라는 오케스트라를 지휘합니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그리고 그 의미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지가 더 중요해질 겁니다. 이런 흐름을 봤을 때 산업공학과의 미래는 매우 밝습니다. 미래를 걱정하지 말고, 꿈을 크게 가지길 바랍니다 ... ...
- INTRO. 해양쓰레기 청소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흘러들어간 이후에는 바다동물들의 건강을 위협해요. 헤엄을 치거나 먹이를 먹을 때 미세플라스틱도 함께 몸으로 들어가는데, 몸에 한 번 들어오면 밖으로 배출되지 않고 계속 쌓이게 되거든요.미세플라스틱으로 배를 채운 바다동물들은 더 이상 배고픔을 느끼지 못해 굶어 죽거나, 미세플라스틱이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단단하게 만드는 운동이에요. 척추기립근은 척추를 지탱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 근육이 단단해야 척추가 곧게 자랄 수 있답니다. 운동을 배우는 내내 기자들은 평소에 쓰지 않던 근육들을 사용하느라 온몸 곳곳이 당기고 아팠어요. 그래도 척추를 건강하게 만들 수 있다는 생각에 전문 ... ...
- [수학뉴스] 각기둥일까? 원기둥일까?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모양입니다. 이렇게 입체도형을 만들면 실제 도형을 볼 때와 거울에 비친 도형을 볼 때 눈과 이루는 각도가 달라져 도형이 다르게 보이는 착시 현상이 일어납니다.수기하라 교수는 “거울 속 도형과 실제 도형이 같다고 논리적으로 생각하려고 해도 한번 다르다고 인식한 뇌는 이를 쉽게 받아들이지 ... ...
- [지식] 불가능을 가능으로 세트를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8호
- 세트가 없는 최대 카드 수를 D(n)이라고 합시다. 그렇다면 이 D(n)이라는 값은 n이 커질 때 과연 얼마나 빨리 커질까요?한편 1993년 노가 아론과 모세 디비네르는 D(n)<2.999n이라고 추측했습니다. n이 커지면 이 값은 지금까지 밝혀진 그 어떤 결과보다도 훨씬 작은값이 되지요. 그런데 얼마 전까지만 해도 ... ...
이전6896906916926936946956966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