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가슴지느러미가 길다.청새리상어가 해수욕장에 출현한 것은 우리나라 연근해에서
개체
수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청새리상어는 따뜻한 바다를 더 좋아하는데 바닷물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우리나라 연근해에 늘어났다고 판단된다.청새리상어는 특히 오징어 무리를 잘 덮치는데 여기에는 몇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않게 노래를 부르려 하기 때문에
개체
수가 많을수록 매미소리가 길게 이어진다.“하지만
개체
는 더 있을 수 있어요. 다른 수컷들이 울 때 에너지를 아끼면서 울지 않고 있다가 암컷이 다가오면 중간에서 가로채는 얌체들이 있거든요.” 장 교수가 덧붙였다. 따라서 매미탐사대원으로 자료를 보낼 때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곧 권력이고 이것이 가능한 집단과 아닌 집단 사이에 차이가 난다고 말했다. 이것을
개체
내로 적용해 본다면 정보의 홍수 속에서 자신에게 필요할지도 모를 정보를 정리하고 요약하고 저장해 놓는 것이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한 행동으로 동물의 저장활동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미국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열정적으로
개체
수를 늘리는 까닭은 잠자리 유충 등 포식자로부터 잡아먹히는 속도보다
개체
수를 더 빨리 늘리기 위해서다.과학사 속에서 새로운 개념의 등장은 꼭 실험실에서만 이뤄지지 않았다.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공기의 저항이 없다면 모든 물체는 똑같은 속도로 떨어진다’는 사실을 ... ...
토론하고 설득하고 ‘꿀벌은 정치가'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교수가 ‘집단지능’, ‘민주주의’라는 사회학 용어로 표현한 꿀벌의 행태를 3000원‘초
개체
’라는 말로 나타내고 있다는 점이 이색적이다.마지막으로 한 마디. ‘꿀벌의 민주주의’에는 현장에서 생물학을 연구하는 학자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대목이 하나 있다. 자신의 꿀벌 배설물 지식이 미국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낳는 일은 곧 성공적인 삶의 지표입니다. 아동기와 청소년기를 거쳐 성장을 계속하던
개체
가 성장을 멈추고 본격적인 재생산에 들어간다는 뜻이니까요.대부분의 동물들은 새끼를 낳는 일이 그다지 힘들지 않습니다. 유독 인간에게만 위험한 일이지요. 왜 이런 일이 생겼을까요.머리는 커지고 산도는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한다. 그들의 종 족을 오랫동안 보존하기 위해서 그들은 일정한
개체
수를 유지해야 한다.
개체
수가 너무 적을 때에 그들이 번식을 많이 하지 않는 이상, 계속 존재하기는 어렵다. (…중략…) 그들은 ‘집단 대이동’을 통해 투신자살을 함으로써 생태계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전자 ... ...
Part2. 세균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부위에 무엇이 얼마나 사는지, 먹이는 얼마나 먹는지, 무엇을 먹는지, 어제와 오늘의
개체
수를 세어가며 번식 속도도 계산한다. 그리고 침대에 사는 곤충의 분포도를 그린다. 침대에 사는 곤충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으면서 그 수가 엄청난 탓에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게다가 보이는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분야는 발생학이 아닐까요. 수정란에서 완전한 형태의
개체
가 만들어지는 신비로운 과정을 규명하는 데 개구리가 결정적인 기여를 했으니까요. 사람은 말할 것도 없고 쥐도 발생학을 연구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어미 쥐의 자궁속에서 일어나는 일이니까요. 닭은 알에서 ... ...
유전자 적중과 배아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능을 하는지 알아야 한다. 그 방법은 기능을 알고 싶은 유전자가 제거된
개체
와 정상
개체
의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유전자 적중(gene targeting)은 바로 이렇게 원하는 유전자만을 제거해 해당 유전자의 기능을 알아보는 기술이다. 유전자 적중을 이용하면 한 유전자를 다른 유전자로 바꿀 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