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d라이브러리
"
개체
"(으)로 총 1,399건 검색되었습니다.
애벌레의 36계 줄행랑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치악산에서 채집 기록이 있었다. 2010년 7월 15일 치악산 국립공원 조사 중 왕나비 애벌레 1
개체
를 채집했다. 애벌레로 채집되기는 본 조사가 최초 기록이다. 이 애벌레는 박주가리과 큰조롱을 먹이식물로 삼으며 7월 17일 번데기를 만든 뒤 7월 30일 89mm의 왕나비 수컷 성충으로 우화했다.[왕나비 (Parantica ... ...
1984년 발터 게링 교수의 호메오박스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고장난 돌연변이 초파리에 이 유전자에 해당하는 닭의 호메오유전자를 집어넣어 정상
개체
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게링 교수는 1998년 출간한 호메오박스의 발견 이야기를 담은 책 ‘발생과 진화에서 주인 조절 유전자’(여러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호메오유전자를 ‘주인(master)’에 비유했다 ... ...
구강 박테리아 다양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무렵에는 이런 연구 결과들이 산더미처럼 쌓일 것이다. 그때쯤에는 우리 인간이 ‘초
개체
’라는 사실이 상식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을까.[인체 거주 미생물 분포우리 몸의 부위에 따라 거주하는 미생물의 다양성과 분류학적종의 분포가 다르다. 미생물군집 PCR 분석으로 찾아낸 데이터를 종합했다.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등 기반 시설을 좀 더 압축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벌집이나 개미굴도
개체
수가 두 배가 되면 약 20% 정도 압축이 일어난다. 두 번째는 복잡계 네트워크 특유의 증폭 현상이다. 도시 속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사람들 개개인은 서로 교류를 늘려나가며 영향을 주고 받는다. 그 결과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뒤 항체검사로 구제역바이러스를 지니고 있는 가축을 선별해 살처분하는 과정을, 이런
개체
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계속 진행해야 한다. 그 기간이 얼마나 될지는 알 수 없다. 강 교수는 “대만의 경우 1997년 구제역이 발생해 돼지 380만 마리를 살처분했고 결국 백신 정책을 썼다”며 “그 결과 14년이 ... ...
3차원 영상으로 암모나이트의 식성 밝혀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두족류의 조상인 암모나이트는 중생대를 대표하던 바다 생물이다. 약 6550만 년 전 멸종한 이 생물의 모습이 현대에 재현됐다. 닐 랜드맨 미국 자연사박물 ... 것이라고 예상했다. 닐 랜드맨 큐레이터는 “암모나이트가 멸종한 이유도 플랑크톤
개체
수 변화와 관계가 있을것”이라고 말했다 ... ...
새들이 군무를 추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무리’라는 뜻의 ‘스마트 스웜’을 쓴 피터 밀러 박사는 “동물이 큰 집단을 이루면
개체
가 저지르는 사소한 실수는 평균화된다”며 “집단 전체가 나쁜 정보에 반응하는 일을 막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는 “전체는 부분의 합보다 크다”는 복잡계의 대표적 특성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 ...
Part 2. 숙주 특이성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표면이 매끄럽게 진화한다면 바이러스에 감염되지는 않겠지만 그래서는 세포가 모인
개체
의 생존이 불가능하다.국립수의과학검역원 박종현 수의연구관은 “구제역바이러스는 캡시드 단백질인 VP1의 돌출부분이 숙주인 우제류(소나 돼지처럼 발굽이 둘로 갈라진동물) 세포 표면의 인테그린이라는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된다. 최근 대구에 서식하는 수달과 경북 울진에 사는 산양의
개체
수를 유전학 기법을 이용해 밝힌 연구도 유전자원은행의 연구 덕분이다. 또 우리나라의 고유종과 자생종의 유전적 다양성을 밝히는 연구에도 도움을 준다. 유전적 다양성은 생물다양성의 기본 요소이기 때문에 ... ...
Part 1. 살아남은 50%의 슬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종인 한국호랑이도 한반도에서 볼 수 없게 됐다. 원인은 사냥과 벌채. 인간의 사냥으로
개체
수가 줄고 숲을 벌채해 살 곳이 사라지자 천하의 호랑이도 멸종을 피할 수 없었다.여러 가지 조사와 연구 결과도 인간이 20세기 생물 멸종의 주 원인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매년 전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75
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