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터"(으)로 총 1,18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긍정의 힘으로 만든 나노 고분자과학동아 l2010년 10호
- ~100마이크로미터인 기존 고분자라면 표면적은 1그램에 300~3000cm2가 나옵니다. 하지만 1나노미터가 되면 표면적은 3000m2로 1만 배나 늘어납니다. 이 작은 입자 1그램이 월드컵경기장보다 더 넓은 표면적을 갖게 되는 셈이에요.”표면적이 넓어지면 극소량의 물질도 놓치지 않는 센서로 활용하기 좋다. ... ...
- 유비쿼터스 시대, 우리가 이끈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전도성 고분자 나노재료의 제조를 연구했다.당시에 금속 및 무기 입자는 수 나노미터 크기(nm)의 제조기술이 체계적으로 정립된 반면, 고분자 나노입자는 제조기술이 확립되지 못했다. 우리의 접근법은 친수성과 소수성을 동시에 지니는 계면활성제의 자기조립현상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 ...
- 하늘이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0년 10호
- 충돌할 위험도 적지 않다.이 뿐만이 아니다. 열권은 태양에서 오는 파장이 100nm(나노미터, 10억분의 1m) 이하의 극자외선이나 우주방사선을 지표면으로 내려오지 못하도록 흡수한다. 만약 열권의 대기 농도가 옅어지면 자외선이나 우주 방사선 같은 고에너지 복사선이 지표면으로 내려올 것이다. ... ...
- 나노 용어 알고 쓰세요과학동아 l2010년 10호
- 표준이 제정됐다. 이번에 확정된 국가 표준에 따르면 나노 크기(nanoscale)는 1∼100nm(나노미터,1nm= 10억 분의 1m)범위로 정의됐다. 나노 물체(nano object)는 물체의 크기를 결정하는 가로·세로·두께 중에서 1개 이상의 길이가 나노 크기인 물질로, 나노입자(nanoparticle)와 나노섬유(nano fiber), 나 ...
- LED가 만들 형형색색의 미래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제작하는 연구를 했다.LED소자를 제작할 때 질화인듐갈륨층과 질화갈륨층을 수 나노미터(1nm=10-9m) 두께 수준에서 교대로 적층하는 양자우물 구조를 주 활성층으로 이용한다. 양자우물 구조 형성시 질화인듐갈륨층 내의 인듐 조성이 20%를 넘기기 힘들어 발광파장의 조절이 쉽지 않다. 또 ... ...
- 이중휴명 전략펴는 깽깽이풀과학동아 l2010년 09호
- 15cm나 됩니다. 그런데 무게는 고작 0.3g에 불과하지요. 사실 날개의 두께는 10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도 채 안 되기 때문에 종이보다 훨씬 얇지요. 땅에 안착한 뒤 소나기라도 내리면 날개는 빗방울을 못 이겨 찢어지고 씨앗이 발아하지요.우리나라 야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참나무의 열매, 즉 ...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과학동아 l2010년 09호
- 한 층을 반복하는 방법으로 원소를 종류별로 차곡차곡 쌓아올린다. 층당 두께가 나노미터(nm, 1nm=10-9m) 단위밖에 되지 않아 굉장히 얇다.원소들을 층층이 쌓은 결정을 약 1000℃에서 가열하면 질화갈륨(GaN)이 생성되면서 메탄가스는 밖으로 날아간다(MOCVD 공정). 여기에 배터리를 연결해 전기를 통해주면 ...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과학동아 l2010년 09호
- 연구원에 따르면 근접장에는 빛뿐만 아니라 원자핵력, 전자기력 등이 존재한다. 나노미터 크기의 바늘은 이런 힘들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근접장 안에 가까이 가져가기만 해도 힘이 감지된다. 미세한 간격으로 바늘의 위치를 옮기면 시료의 표면 형상과 물리적인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각 ... ...
- 백두산 최후의 날?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산업 사회에 심각한 도미노현상을 파급시킬 수 있다. 화산재의 양이 많을 경우 마이크로미터(㎛, 1㎛=10-6m) 크기의 화산재가 에어로졸 상태로 성층권에 머물면서 태양복사를 차단해 전 지구적인 화산 재앙을 초래할 가능성도 있다. 특히수년 동안 전 세계 곡물 재배에 악영향을 줘 장기간 식량 ... ...
- 타이탄의 호수 얕아졌다과학동아 l2010년 08호
- 온타리오 라쿠스의 레이더 영상을 분석했다. 아론슨 교수는 “레이더의 전파는 액체 몇 미터 정도는 쉽게 통과한다. 따라서 얕은 곳은 전파가 바닥에 반사돼 바닥을 볼 수 있고, 깊은 곳은 전파가 모두 흡수돼 검게 보인다”고 원리를 설명했다.카시니호의 레이더로 호수 경계 부분의 바닥을 관측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