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바깥"(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바이오이미징이 우리나라 먹여 살릴 겁니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다양한 분야를 공부하는 특별한 팁이 있나한국 학생들은 자신만의 한계를 설정해놓고 그 바깥으로 나오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른 분야에 흥미를 갖도록 꾸준히 노력해보세요. 예를 들어 논문을 읽을 때도 전자공학을 연구하다고 해서 그 부분만 읽는 것이 아니라, 어렵더라도 생물이나 화학 ... ...
- [Knowledge] 방사능벨트가 지구 보호한다고?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우주인이 통과했느냐는 겁니다. 반 앨런대는 도넛 모양의 내대(안쪽 벨트)와 외대(바깥쪽 벨트)로 구분합니다. 지표에서 1000~5000km 높이에 있는 내대는, 태양계 밖에서 온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cosmic ray)이 지구 대기의 분자나 원자와 충돌할 때 생기는 양성자와 전자(바로 하전 입자)로 구성된다고 ... ...
- [지식] 펭귄의 남극살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중요하다. 그래서 황제펭귄 무리는 서로 몸을 맞대고 둥그렇게 모여서 추위를 이긴다. 바깥쪽에 있는 펭귄은 얼어 죽을 수 있으므로 수시로 위치를 바꾼다.그런데 황제펭귄의 이런 움직임을 수학 모델로 연구하자 흥미로운 결과가 나왔다. 아무렇게나 움직이는 듯 보여도 실제로는 최대한 공평하게 ... ...
- PART 3. 빙하시대의 거대동물들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견뎠다. 2cm의 두꺼운 피부와 8cm에 달하는 피 하지방, 그리고 긴 털이다. 특히 거칠고 긴 바깥쪽 털은 지름이 0.5mm로 사람 머리털보다 약 3~6배 굵었다. 길이는 부 위에 따라 달랐는데, 배와 등쪽에 난 털 은 최대 90cm에 이르렀다.매머드인듯 매머드 아닌 매머드 같은마스토돈은 털매머드와 자주 혼동되 ... ...
- 어렵지 않아요! 투명 망토 만드는 세 가지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바로 이 굴절률을 이용했어요. 수조 뒤에서 나오는 빛(배경)은 수조에서 물을 만나 바깥쪽으로 꺾여요. 그 뒤 두 번째 수조를 만나 다시 원래대로 돌아와요. 우리 눈에는 마치 수조 사이에 있는 물체가 사라진 것처럼 보이는 거지요.이처럼 빛이 굴절해서 벌어지는 현상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밥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1학년 때일 겁니다. 당시에 저는 정말 뜨개질을 많이 했어요. 위상수학 시간에 안쪽 면과 바깥쪽 면이 구분되지 않는 클라인 병을 배운 뒤, 4차원 물체를 손으로 직접 느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죠. 완벽하지는 않았지만 스스로 만들었다는 데 신이 나서 교수님께 보여 드렸어요. 그 뒤로 어떻게 하면 ...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그것은 똑바른 선 모양으로 들어온다.”어두운 방에 작은 구멍을 뚫으면 반대쪽 벽에 바깥 풍경이 비쳐요. 아주 큰 바늘구멍 사진기를 생각하면 돼요. 이걸 ‘카메라 옵스큐라’라고 하는데, 나중에 카메라 원리가 되지요.이렇게 연구 중에 알게 된 사실은 모두 책으로 써 기록했지요. 7권으로 ... ...
- PART4. 일반상대성이론 완성한 집단지성의 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있는 경우지요.”┗ 두 편의 논문을 보내셨더군요.“네. 1915년 12월 22일의 논문은 별 바깥의 중력에 대해, 두 번째 논문은 별 안에서의 중력에 대해 구한 것입니다. 이 조건에서는 오직 별의 질량에 의해서 모든 것이 결정됩니다.”┗ 박사님이 구한 해에 특이점이 나타난다는 것은 아셨습니까 ... ...
- [Hot Issue] 남극탐험가 섀클턴의 위대한 실패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뱃고동 소리였다. “1914년 12월 스트롬니스 만을 출발한 이래로, 사람의 손을 거쳐 바깥으로 퍼져나오는 소리를 들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었다.”일행은 1년 반 만에 처음으로 다른 사람을 만났다. 기지에서 섀클턴은 안면이 있던 책임자를 찾았지만, 그는 처음에 섀클턴을 알아보지 못했다.구조 ... ...
- PART3. 우주를 뒤바꾼 일반상대성이론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전 사람들이 생각한 우주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태양계에 대해서는 꽤 잘 알았지만, 그 바깥은 거의 몰랐다. 우주 전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명확히 알아차린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별들이 조금씩 움직이는 정도라고 생각했다. 대부분의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아인슈타인도 우주는 영원불변한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