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meter
파라미터
파
metre
miter
뉴스
"
미터
"(으)로 총 2,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몸 속 돌아다니며 노폐물만 삼키는 '팩맨' 캡슐 개발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10
살아있는 세포와 닮은 구조를 가진 캡슐을 구현하는데 성공했다. 지름이 약 8마이크로
미터
(μm·1μm 는 100만분의 1m) 정도의 적혈구와 형태와 크기가 비슷하다. 캡슐에 뚫린 작은 구멍을 통해 물질을 흡수하고 내뱉는다. 연구팀은 캡슐에 작은 펌프 기능을 집어 넣었다. 빛에 반응하는 촉매를 ... ...
뇌에 약물 공급하고 반응 신호 측정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8
뇌질환 치료용 전극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로니들은 마이크로
미터
(100만분의 1
미터
) 단위 직경의 바늘 형상 구조물이다. 기존 마이크로니들이 포함된 어레이 형태의 전극은 단단한 실리콘과 유리를 바탕으로 만들어져 유연성이 없었다. 재료나 형태 특성 때문에 약물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축적된 기초연구 지식이 '질병 X'를 막는다
2021.09.08
등 살아있는 세포에 기생하고, 세포 안에서만 증식할 수 있는 미생물. 크기는 20~400nm(나노
미터
)이고, 병원체(病原體)가 되는 것도 있음. 보통 RNA, DNA 등 핵단백질을 주요 성분으로 하며, 생물의 체세포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강함.” 이 추상적인 문장을 조금 더 친절하게 기술할 수는 없을까? 만약 ... ...
순수한 물을 금속으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
과학동아
l
2021.09.07
10초간 천천히 나오게 하고, 동시에 수증기를 공급해 물 분자가 합금 을 1초에 24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씩 도포하도록 만들었다. 이때 알칼리 합금을 둘러싼 물방울은 금색으로 변해갔다. 연구팀은 분광 분석을 통해 합금에서 방출된 전자가 물층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금속 상태의 물’을 ... ...
中 화성 탐사용 소형 헬기 시제품 공개...美 NASA 인저뉴이티와 ‘판박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9.05
NASA 제공. NASA의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는 지난 4월 첫 비행에 성공하면서 화성 표면에서 3
미터
높이로 스스로 비행했다. 이는 인류 최초로 지구가 아닌 다른 행성에서 동력 비행에 성공한 것이다. 화성의 대기 밀도는 지구의 1%에 불과해 항공기가 뜨게 하는 양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환경이다. NASA ... ...
꼬리가 다섯 번째 발 역할 수직 표면 착륙 가능한 도마뱀붙이
연합뉴스
l
2021.09.03
에 발표했다. 납작꼬리 도마뱀붙이는 나무에 살면서 포식자를 피해 나무 사이를 수
미터
씩 활공한다. 눈 깜짝할 사이지만 온몸으로 나무 몸통에 부딪히고 큰 충격을 받지만 추락하지 않고 수직 표면에 착륙을 한다. 막스 플랑크 연구소와 네이처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우선 싱가포르 우림 내 ... ...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기술도 '초격차'…2억 화소 벽 깼다
연합뉴스
l
2021.09.02
출시한 삼성전자가 2년 만에 2억 화소의 벽도 처음으로 깼다. 이 제품은 0.64㎛(마이크로
미터
) 픽셀 2억 개를 1.22분의 1인치 옵티컬 포맷(카메라 렌즈를 통해 들어오는 이미지가 인식되는 영역의 지름) 크기에 구현한 것이다. 동일 픽셀 크기의 기존 1억800만 화소 제품보다 화소 수를 85% 늘리면서도 ... ...
열을 전기로 바꾸는, 손톱보다 작은 발전기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점도 감소가 없었다. 이렇게 개발된 마이크로 열전 모듈로 만든 발전기는 1제곱센티
미터
당 479 마이크로와트(㎼, 100만 분의 1W)의 전력 밀도를 보였다. 온도차는 82.9도까지 높일 수 있었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보고된 마이크로 열전 모듈 중 가장 큰 온도차”라고 설명했다. 열전 모듈은 열로 ... ...
[랩큐멘터리]'1000조분의 1초' 순간을 포착하는 극초고속 레이저의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21.09.01
물질 속에서 크기가 1나노
미터
(㎚·1㎚는 10억 분의 1m)도 되지 않는 원자의 운동속도는 초당 1㎞에 이른다. 이런 '찰나'의 순간 아주 작은 입자의 움직임과 진동을 측정하려면 극도로 짧은 시간 빛을 쪼여 변화를 관찰하는 방법밖에 없다. 카메라로 보면 셔터 속도를 높여야 고속으로 움직이는 섬세한 ... ...
mRNA백신 핵심으로 떠오른 ‘나노전달체’ 신소재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30
혈관 구멍을 지나 약물을 전달하고 제조 공정상 세균이 쉽게 걸러지도록 50∼200nm(나노
미터
·1nm는 10억분의 1m) 크기로 만든다”며 “약물을 잘 보호하고 생체에 잘 맞고 몸속에서 잘 분해되는 성분으로 구성된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는 나노 전달체는 지질나노입자다. 약품의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