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정당함
타당성
정확
정밀도
스페셜
"
확실
"(으)로 총 825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정아의 닥터스] "조현병 환자의 강력범죄 책임 국가가 져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하지 않는다. 그래서 조현병 환자를 신고하더라도 비교적 경미한 범죄로 판단되면
확실
한 해결방법을 쓰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렇게 참담한 사건들이 일어났다. - 어떻게 하면 이렇게 참담한 사건을 막을 수 있을까? 환자 가족이나 주변 사람들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게 아니라 국가가 책임을 ... ...
“우주에서 활약할 ‘작은 변신 로봇’ 만들고 싶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현실 속에서 로봇을 제어하기가 기존 로봇보다 어렵다는 점이다. 예민한 기기인 만큼 불
확실
성이 커서 재현이 어렵다. 입는 로봇인데 사람의 몸집이 조금만 달라져도 작동 패턴이 달라지는 게 대표적이다. 그는 “소프트로봇이나 로보가미는 일견 간단해 보이지만, 실제로 구현하기는 큰 로봇보다 ... ...
"스페이스IL 실패했지만 더 싸고 빠른 우주탐사 모색한 가치있는 도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계획을 세운 NASA는 20억달러를 투자할 9개 민간 기업을 선정했다. NASA 당국은 선정 당시
확실
한 성공보다는 빠르게 미션을 수행하는 데 방점을 찍었다. 스페이스IL처럼 일부 미션을 실패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예상했다. 짐 브라이든스틴 NASA 국장은 자신의 트위터에 “스페이스IL 미션 실패에 NASA는 ... ...
홍역 확산을 계기로 살펴 본 성인이 꼭 챙겨야 할 백신 10종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3번에 걸쳐 주사를 맞아야 한다. 대한감염학회에서는 B형간염 백신을 맞았는지
확실
하지 않을 때 항체 검사 후 접종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B형간염바이러스는 이미 감염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염된다. B형간염이 있는 여성이 낳은 아기가 감염될 수 있으며(수직감염) 성 접촉이나 수혈, ... ...
美 지게차,日 가정용 연료전지,中수소차100만대로 수소경제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쏟고 활성화 로드맵을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여전히 수소 경제의 불
확실
성을 두고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수소 생산에 드는 에너지가 소비 에너지보다 커서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지적이 일례다. 한 소장은 “열역학 법칙으로 표현하면 에너지의 효율은 1이 넘어갈 수 없다"며 "화석 ... ...
'콜라 암 유발설 vs. 암 억제설' 논란 미궁 속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연구팀은 "인공감미료가 비만, 당뇨병, 암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는 것에 대한 증거는
확실
치 않다”며 “특히 암의 경우 인체 대상 역학 연구에서는 이 같은 연관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2015년 7월엔 카페인이 든 음료를 많이 마실수록 기저세포암 발병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동기화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며 있는 것으로 결론이 나는 분위기였지만 아직도 불
확실
하다. 그리고 설사 페로몬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게 과연 사람의 행동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것인가는 또 다른 얘기다. 지구자기장 역시 설사 사람이 느낀다고 하더라도 과연 행동에 얼마나 영향을 줄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딸기가 지구를 한 바퀴 돈 사연
2019.03.19
게놈은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먼저 참조할 게놈으로 2배체 종들 가운데 딸기의 조상이
확실
시되는 숲딸기를 선택한 것이다. 숲딸기의 게놈은 2억4000만 염기로 작지만(사람은 32억 염기다) 유전자는 3만4809개로 추정돼 전형적인 식물의 범위에 들었다. 이 가운데 상당수가 향기 분자를 만드는 데 ... ...
AI, 원전 안전을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기존의 복잡한 안전성 평가 소프트웨어 대신 비교적 단순한 인공신경망 AI를 이용해 불
확실
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했다”고 말했다. 계산에 소요되는 시간이 수백~수천 분의 1 수준으로 획기적으로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전사고 발생 시 사고의 진행 방향을 예측한 뒤 이에 대처하고자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당뇨병'은 질병인가 상술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3.10
사이언스는 미국에서만 8400만 명이 진단받고 있는 ‘전당뇨병(prediabetes)’이 사실은 불
확실
한 과학에 기초하고 있으며, 미국당뇨병학회(ADA)와 제약회사 등 이해관계자들이 배경에 있다고 지적했다. 전당뇨병 진단으로 의사들이 굳이 환자일 필요 없는 일반인을 환자로 바꾸고 있다는 것이다.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