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백
정당함
타당성
정확
정밀도
스페셜
"
확실
"(으)로 총 8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추억은 슬픔을 이기는 힘
2025.07.12
돌아보지 않는 게 더 좋을 것 같기도 했지만 열심히 추억하고 함께 많이 행복했음을
확실
하게 느끼는 편이 더 후회와 슬픔을 많이 내보내게 도와주는 것 같다. 그런 한편 우리 반려견을 만나서 너무 행운이었고 감사하다는 생각은 더 많이 하게 되는 것 같다. 추억 또는 노스텔지어란 과거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美 트럼프 정부 해외원조 삭감, 전세계 어린이 건강 위협"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Science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네팔 나우사하라 마을에 사는 10개월된 아기 '라다 마우리아'의 모습이 담겼다. 마우 ... %에서 4.9%로 비중이 소폭 늘어났지만 어린이들의 영양 지원에 얼마나 기여할 수 있을지는 불
확실
한 상황이다. - doi.org/10.1126/science.z4b05z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능 미적분·기하 선택하면 '이과생'이라는 억지
2025.06.18
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수능'에서도 '문·이과'의 구분이 없다. 물론 일제 강점기에서부터
확실
하게 굳어진 '문·이과 구분'이 완전히 사라져 버린 것은 아니다. 교육과정이나 수능 체계와 상관없이 학교 현장에서는 관행적으로 학생을 '문과'와 '이과'로 구분하고 있다. 국어·수학·사회·과학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이재명 정부 출범…AI보다 '기초과학'이 더 절박
2025.06.04
버려야 한다. 남이 장에 간다고 우리도 따라가겠다는 식의 '추격형 연구개발 정책'을
확실
하게 폐기해야 한다. 국가 경제 발전을 위한 '산업정책'과 인류 공영을 위한 과학지식 증진을 추구하는 '과학정책'을 구분하는 최소한의 노력도 필요하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빛바랜 '스승의 날'의 우울한 풍경
2025.05.21
무책임한 자세는 더 이상 용납할 수 없다. 교사에 대한 갑질을 일삼는 학부모에 대한
확실
한 사회적 대책이 필요하다. 정치적으로는 매우 민감한 이슈가 자리 잡은 '수월성'과 '기회균등'이 사실 교육 현장에서는 크게 다른 것이 아닐 수도 있다는 인식이 필요하다. ※필자 소개 이덕환 서강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때론 '불
확실
성이' 삶에 도움이 된다
2025.05.17
삶을 살아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니다. 삶에서 늘 좋거나 나쁜 건 생각보다 별로 없고 불
확실
성 또한 그렇다는 이야기다. 어쩌면 이 또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기울어지지 않으며 지나침도 미치지 못함도 없는 ‘중용’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야기일지도 모르겠다. Alquist, J.L., & Baumeister, R.F. (2024).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조기 대선 집어삼킨 AI 공약 현실적인가
2025.04.23
정책과 행정은 여전히 선진국을 흉내 내는 추격형을 강조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도
확실
하게 거부해야 한다. 인공지능 공약도 마찬가지다. 선진국이 인공지능에서 놀라운 성과를 내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우리도 따라가야 한다는 추격형 인식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못했다는 뜻이다. '한국형 ... ...
[이덕환의 과학세상] 尹 파면 후 과기정책 표류…연구자 중심 '글로벌협력' 고려해야
2025.04.09
버린 의사의 현실도 암울하다. 과연 의료계가 국민적 신뢰를 되찾을 수 있을 것인지도
확실
하지 않고 의료계 내부의 세대·직역 갈등도 걷잡을 수 없이 증폭되고 있다. 의대 입학정원 2000명 증원으로 촉발된 의정 갈등의 책임은 고스란히 젊은 의대생과 전공의에게 돌아가 버렸다. 교육부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데 걸림돌 '인 문제' 해결됐나
2025.03.05
이라거나 "이전보다 한참 더 나아갔다"는 식으로 높게 평가하면서도 "우리는 여전히 불
확실
성과 함께 지내야 한다"며 아직은 가설일 뿐임을 지적했다. 문득 이번 성과를 낸 연구자들도 미래에는 앞서 판 헬몬트처럼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설사 지금은 인정받더라도 과학 지식이 더 쌓인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미래 기술 거부하는 'GMO 완전 표시제'
2025.02.26
위기와 국제 정세에 따라서 non-GMO 곡물 원료의 충분한 확보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확실
한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는 뜻이다. GMO 기술 개발의 사정은 절박하다. 우리는 2008년부터 시행하고 있는 '유전자변형생물체법'에 따라 GMO의 개발과 재배·생산을 엄격하게 금지하고 있다. 심지어 제주대 이효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