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공룡은 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살았기 때문에 늪이 공룡의 주 무대라고 잘못 알던 때가 있었다. 그러나 그들의 발자국
크기
등을 연구한 결과 그들이 능히 땅 위에서 체중을 지탱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브론토사우루스는 쥐라기의 공룡이고 공룡이 절멸한 백악기 말에는 그런 대형 공룡은 이미 없었다. 풍성한 공룡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예상된다.KIST 환경복지기술연구단장 박원훈 박사는 "이번에 남극에서 발견된 오존구멍의
크기
가 예년에 비해 큰 것만은 확실하다. 그러나 작은 얼음알갱이가 줄어들면 이 구멍도 보름 후에는 다시 막힐 것이므로 자세한 분석결과를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올봄 북반구에서의 오존량 ... ...
새기술 새발명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증폭기 역할을 함으로써 능동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되었다. 다시 말해 축전지의
크기
를 줄이면서 집적용량은 증대시켜야 했던 기존의 기억소자와는 달리 축전지의 용량이 적어도 정보의 양의 확대되도록 한 것.또 기존의 기억소자의는 달리 김교수의 기억소자는 아날로그신호를 저장처리한다는 ... ...
Frog-And More In Space 우주공간에서의 개구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숨쉴 수 있지만 제법 좋은 폐를 가지고 있으며 방이 세개 있는 심장이 있어 많은 작은
크기
의 포유동물보다도 오래 살 수 있다.양서류의 역사와 우주 속의 올챙이의 경이로움을 살펴 보는 동안 필자는 시간이 흐르는 모래속에 발자국을 남긴 이첩기시절의 양서류를 생각하게 된다. 이 모래는 ... ...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발견됐다. 이들은 대개 카마라사우리데(Camarasauridae)과에 속하는 것을 위시해서 여러가지
크기
와 형태의 것들이 나타난다(일본 요코하마대학 하세가와교수의 조언). 이빨은 동물의 체(體)화석(body fossils) 중 어느 부분화석보다도 분류학적으로 중요하다. 왜냐하면 보존가능성이 가장 높을 뿐 아니라 ... ...
2. 미래의 반도체 어떻게 달라지나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마이크로프로세서, 기억능력 및 통신기능 등의 다기능이 내장된 손목시계 또는 만년필
크기
로 축소되어 휴대하기에 매우 간편한 단말기로 발전될 것 이다. 통신방식도 지상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대신 인공위성을 기지국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발전, 지구 전역을 단일 통화권으로 만듦으로써 ... ...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실험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현재 물리학자들이 기본입자로 생각하고 있는 쿼크의
크기
는 1천조분의 1㎝보다 작다.이러한 실험에서 측정대상이 눈으로 볼 수 없는 대상이므로 이 소립자들이 만들어낸 현상을 가시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즉 입자물리실험은 입자를 생성하는 가속기와 이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벌어져 길다란 다이아몬드형의 공간을 갖게 되고, 이 공간이 바로 한개의 정방형의
크기
와 같게 된다는 것이다.직선 PR이 수평과 이루는 각도는 arctan (=${tan}^{-1}$)2/5, PS가 수평과 이루는 각도는 arctan 3/8이다. 따라서 그 사잇각은 arctan 2/5—arctan 3/8=arctan 1/46=1.245˚. 이 각도 ...
북극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1/10정도로 적다. 동물성 플랑크톤에 관한 지식은 단편적이다. 그러나 동물성 플랑크톤의
크기
는 보다 따뜻한 바다에 사는 것보다 더 크다. 이는 찬물 속에서 느리게 성숙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북빙양의 중심부에서는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이 적어 이들을 먹고 사는 물고기도 적다. ... ...
「간이 인공위성」으로 부각되는 무인비행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흔들리면 아무런 소용이 없기 때문이다.우리나라에서는 지난 87년 기계연구소에서 8×3m
크기
의 무인 비행선3대를 만들어 시험 비행한 바 있다. 이와는 별도로 경찰청(당시 치안본부)에서 88서울올림픽 때 주요 인사를 보호하고 주요 시설을 보호한다는 목적 아래 유인(조종사 4명과 승객 16명을 태울 수 ... ...
이전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