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콘택트렌즈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각막 위에 부드럽고 편안하게 놓인다. 산소 투과율도 하드렌즈에 비해 훨씬 높다. 그
크기
가 하드렌즈보다 크다는 점 역시 유리한 점이다. 소프트렌즈의 경우 눈꺼풀 아래까지 덮게 되므로 좀처럼 눈에서 이탈되는 법이 없다.그러나 소프트렌즈에도 약점은 있다. 이들은 결국 작은 '물주머니'인 ... ...
3. 오토페이지를 이용한 문서편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쪽지(boxed text) 기능을 이용했다. 원하는
크기
의 쪽지를 그린 뒤 원고를 입력하고 글자의
크기
와 서체, 체움무늬 등을 바꿔 주면 다양한 편집효과를 얻을 수 있다.7. 세련된 감각이러한 과정을 거쳐 (사진 9)와 같은 편집물이 완성되었다.좀 더 보기 좋고 읽기 쉬운 문서를 만들려면 DTP 소프트웨어의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컴퓨터를 32인승 버스에 비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버스를 똑같이 한번 움직이더라도
크기
에 따라 각각 8명 16명 32명을 태우고 다닐 수 있듯이, 컴퓨터에서도 각각 8비트 16비트 32비트씩 자료 전송이 이루어진다.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8비트 16비트 32비트에서 보듯이 숫자는 꼭 두배씩 ... ...
에어하트의 비행기 실종 미스터리 추적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한 섬에 불시착했을 것이라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길레스피가 증거물로 제시한 보통
크기
의 베개모양을 한 다 해지고 굽은 알루미늄판에는 못구멍이 줄지어 뚫려 있었다. 실제로 금속판은 에어하트가 탔던 비행기의 소재로 쓰였던 합금들로 이뤄져 있었다. 그것은 암초에서 그리 멀리 떨어지지 않은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비롯된 것이다.태양 정도의 질량을 가진 원시별은 현재 태양보다 1천배 이상 밝으며 그
크기
도 1백배가 넘는다고 한다. 이후 약 1천만 년 동안 중력 수축해 결국 안정된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태양같은 별의 수명(약 1백억 년)에 비하면 거의 순식간에 만들어진다고 해도 그리 틀린 말은 아니다.다음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궁수 A' (Sagittarius A)라고 불리는 미지의 천체가 있다. 궁수 A는 강한 전파를 내며 그
크기
가 10억 km보다 작아 현대천문학의 수준으로는 그 구조를 볼 수가 없다(은하중심까지의 거리가 3만광년인 것을 생각하면 궁수 A의 모습을 보고자하는 것은 마치 서울에 있는 사람이 부산에 있는 작은 개미 ... ...
쓰레기 속에서 진주 찾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아이디어 창출법으로 꼽는 것은 역전의 발상이다. 즉 모양
크기
성질 방향 용도 등 무엇이든 반대로 생각해 보는 것이다. 국민학교 시절에 배웠던 '반대말 대기 게임'을 생각해보면 의외로 큰 힘이 될 것이다.세계 최초로 손으로 전 · 후진하고, 발로 방향을 조정하는 ... ...
(3) 컬러프린터의 세계 1천6백만가지 색상 표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CAD/CAM(컴퓨터 이용 설계 및 생산)업체를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던 장비로 A4 용지에서 A0
크기
의 용지까지를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설계도면의 출력에는 이 이상의 출력물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래스터 방식이 아니라 백터 방식으로 그림을 그리므로 속도가 느리며 펜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은하군이라고 부르며 작은 것은 수십개부터 크게는 수만개은하로 구성돼 있다. 이들의
크기
는 그 지름이 3백만광년 이상이며 수억광년까지의 큰 것도 존재한다.우리은하에 가장 가까이 있는 외부은하는 만기형나선은하인 대마젤란성운(LMC)으로 우리로부터 약 15만광년의 거리에 있으며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활동하고 있다. 이곳에서 지구로부터 운반된 각종 물자는 매우 콤팩트한 자동차
크기
의 이동 로봇에 의해 달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는 탐사선에 운반된다. 이를 아르테미스 계획이라 한다. 이곳은 현재까지는 가장 안전한 착륙지점이긴 하지만 더욱 안전한 곳이 있는지를 위치탐사로봇이 찾고 있다. ... ...
이전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