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나타낼 수 있는 점(도트)이 많아진다는 의미이며, 이는 또 비디오 보드 내의 메모리의
크기
에 따라 달라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비디오 보드의 메모리양은 화면 해상도와 표현 가능한 색상수의 두가지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면 3백20×2백의 해상도에 2백56가지 컬러를 나타낼 수 있는 비디오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천문대에 14m 전파망원경이 있고 1.8m 광학망원경이 건설중이며, 대학에서 보유하는 40~60cm
크기
의 망원경이 우리나라에 있는 관측 장비의 전부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을 포함해 국민들의 우주에 관한 관심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도 세계에 내놓아 손색이 ... ...
청동기인의「돌달력」 스톤헨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위하여 세운 돌이라는 것이었다. 직업의식이 발동하여 존스는 그 돌들을 측량하고
크기
를 기록하였다. 그는 그 내용을 왕립학회에 발표하였다. 이것이 나중에 선사시대인들이 세워놓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석조건물로 밝혀진 스톤헨지(Stone henge)이다.도끼의 모양을 보고…왜 그런 건축물을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광물에서 또는 희망봉 앞의 해저에서도 발견된다. 또 다이아몬드가 운석에서 아주 작은
크기
로 발견되기도 한다. 연마재난 기계가공에 다이아몬드가 사용되는데 현재 공업용으로 쓰이는 다이아몬드의 30% 정도는 인조합성된 것들이다. 천문학자들의 개가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조적 시각시험을 통과할 수 있도록 만들 수만 있다면 좋겠지만 아직은 물체들의
크기
가 다르거나 다른 시선으로 물체를 볼 경우 제대로 일을 수행하지 못한다.조셉 앵글버거의 변환연구 주식회사는 로봇들이 일반인들에게 유용하도록 하는 전문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이 회사는 로봇의 시각을 ... ...
오존측정용 과학로켓 카운트다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고 소개했다.길이가 5m가 넘는 대신기전(중소 신기전은 1~1.5m, 산화신기전은 대신 기전과
크기
는 동일하나 목표지점에 도달할 때 약통에 붙은 소형로켓에 불이 붙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폭발한다)은 주로 압록강 하구의 의주성에서 강건너편에 있는 오랑캐들에게 사용했는데 이로 미루어 보아 ... ...
지구의 질량은 어떻게 잴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16배나 되는 항성 주위에서 질량이 무시될 수 있는 가벼운 행성이 우리 지구와 똑같은
크기
의 공전 궤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하자. 그 행성에서의 1년은 우리 지구 시간으로 몇 년에 해당되는지 구하라.(2)지구 표면으로부터 높이 h인 원궤도를 공전 주기 P로 돌고 있는 인공위성이 있다. 이 인공위성을 ... ...
맞춤법교정 다양한 편집기능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셀(shell)에서 필연적이라고 여겨지는 정렬방식 등의 지정이 각 셸별로 가능하며, 또한 그
크기
의 변동 또한 셸안에 들어있는 글자의 양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이 되어 일일이 선을 그릴 필요가 없다. 물론 셸안에서의 워드랩(칸이 차면 밑칸으로 밀려나는 것)기능은 기본이다.사선처리의 경우 인쇄후 ... ...
머리좋은 생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많은 몸무게의 희생을 감수해야만 했다. 날아다니는 동물들은 두뇌를 영장류의
크기
만큼 발전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그들의 두뇌는 작은 대신 포유동물보다는 훨씬 효율적으로 기능하도록 만들어졌다. 새들의 두뇌피질은 작지만 상대적으로 큰 디엔세파론(전뇌의 후반부)을 가졌다. 어쩌면 ... ...
(1) 효능 입증안된 것이 대부분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입자의
크기
경쟁이 점차 뜨거워지고 있는 것이다. 소구체의
크기
가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미크롱(${10}^{-6}$) 수준이었는데 최근에는 나노(nano, ${10}^{-9}$)세계를 추구하고 있다. 1nm의 입자라고 하면 피부속 꽤 깊숙이 침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한국화장품연구소 ... ...
이전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