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안"(으)로 총 11,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과학동아 l2010년 04호
- : 대칭의 역사이언 스튜어트 지음 | 안재권, 안기연 옮김 | 승산 | 424쪽 | 2만 원오랫동안 예술과 건축, 음악에서 핵심적인 개념이었던 대칭은 수학에서는 지금도 불가사의한 이론이다. 이 책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현대 물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대칭의 역사를 설명한다. 저자는 기묘하고 ... ...
- 팔색조 고분자의 화려한 변신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성능이 뛰어나면서 가격은 훨씬 저렴하다. 나피온은 80°C 이상의 고온에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연료를 투과시키는 현상이 나타나 효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 이 고분자막은 고온에서 작동하면서도 연료 투과현상이 현저히 감소했다. 이 교수는 “외국기술과 당당히 경쟁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 ...
- 부끄러울 때 쥐구멍에 숨고 싶은 이유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못한 상태는 아니다. 아이들이 구석으로 들어가는 행동은 어머니 배 안에서 있었던 편안한 기억 때문에 생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서울대 심리학과 곽금주 교수는 “아이들이 구석으로 들어가려는 현상은 어머니와 결합된 상태를 더 많이 기억하고 있는 어린아이들에게 집중적으로 관찰된다”며 ... ...
- 구석구석 내 몸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발바닥 피부로 4㎜이다.3 우리 몸에서 가장 작은 뼈는 귓 속에 있는 등자뼈로, 3㎜밖에 안 된다.8 혈관을타고 이동하며 산소와 영양분을 세포에 전달하는 혈액! 몸 속에 흐르는 혈액을 모두 합하면 약 4~6L로, 몸무게의 약 8%이다. 1.5L우유를 네 통 정도 채우는 양이다.150 재채기를 할 때 공기가 몸 밖으로 ...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www.realsky.org)를 개발해 대중에게 공개했다. 전문가 도움 없이 회원들이 6개월 동안 직접 개발에 참여했다. 인터넷천문대는 미국 우주망원경연구소의 디지털하늘탐사(digitized sky survey)가 제공하는,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우주사진을 보여준다. 한편 천문노트 공동운영자인 이형철 씨는 “실제 천체 ... ...
- 반짝 반짝! 보석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지구 주위를 돌아다니다가 지구 중력에 끌려 지구로 떨어졌지. 빠르게 떨어지는 동안에 지구 대기와 마찰해 불타게 되는데, 타다가 남아 땅에 떨어진 부분이 바로 운석이야. 또 엄청난 속도로 땅에 떨어지기 때문에 주변 암석들을 변형시켜 특이한 광물을 만들기도하지. 너무나 희귀하기 때문에 ... ...
- 화가는 파란색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3호
- 수액 등 끈적끈적한 액체를 넣어 만든 물감. 빨리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유화 : 색채 안료와 기름을 섞어 만든 새로운 물감. 느리게 마르는 것이 특징이다. 달콤한 환상의 세계로 풍덩~!마지막으로 20세기의 그림을 보며 글을 마치기로 해요. ‘색채의 마법사’라는 별명으로 잘 알려진 샤갈은 ...
- Part 3. 완전 기대 새학기 생활! 수학은 공평해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있는지를 물었어. 어떻게 말해야 친구가 한 번에 찾을 수 있도록 알려 줄 수 있을까?교실 안에서 누군가의 위치를 정확히 표현하려면 좌표를 쓰면 돼. 좌표는 공간에 있는 점의 위치를 수의 순서쌍으로 표현하는 방법이야. 여기서는 데카르트의 평면좌표를 이용해 보자. 데카르트의 좌표는 직교 ...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찰스와 시계공장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속으시잖아요. 하하.”다음날, 찰스는 약속을 지키겠다며 허풍과 도형을 초콜릿마을로 안내한다.“세상에 이렇게 달콤한 음식이 또 있을까! 선생님, 전 이것만 먹고 살래요.”허풍 일행은 입가에 초콜릿이 묻은 줄도 모르고 정신 없이 초콜릿을 먹어치운다. 그렇게 스위스에서 마지막 날을 보낸 ... ...
- 가르고 모으는 집합의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3호
- 쉽다. 공집합은 영어로 empty set라고 한다. empty는 ‘비어 있는’이라는 뜻이 있는데 { }안에 원소가 하나도 없는 집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집합 중에는 어떤 집합의 일부분이 되는 집합이 있다. 이를 부분집합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살펴보자. 실수집합은 유리수집합과 무리수집합으로 나눌 수 ... ...
이전6906916926936946956966976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