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리잔에 담긴 환상의 산호섬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색도화지를 사용해도 되구요). 그러면 용액이 종이를 타고 올라가서 나무의 뾰족한
부분
에 예쁜 결정이 마치 꽃송이같이 매달리게 된답니다. 요소의 포화용액만으로도 결정이 생기지만 여간해서 아름다운 결정의 꽃은 피지 않아요. 바로 비밀은 중성세제에 있다구요. 중성세제는 용액의 표면장력을 ... ...
특허받은 동물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이미 수십건이 특허 출원중에 있다고 한다.한편 발생공학적 기술에서 제일 중요한
부분
은 유전자 미세주입기술로 포유동물 수정란의 핵내로 미세유리관을 삽입시킨 다음 극미량의 재조합된 유전자를 주입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수정란의 세포질과 핵막 그리고 핵질에 치명적인 물리적인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은하의 중심부는 투명도가 좋은날 작은 망원경으로도 쉽게 관측할 수 있지만 주변의 링
부분
은 낮은 표면 밝기를 가지므로 좀 더 큰 망원경이 요구된다. 이 두 은하까지의 거리는 8백90만pc다.M96의 북북서쪽에는 타원은하인 M105가 존재하고 있다. 솜털과 같은 작은 구형의 이 은하는 크기가 2.1분×2.2 ... ...
세계에서 가장 가는 탄소나노칩 발견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가늘다.연구팀은 나노칩 외측에 납을 증착해 4백℃로 열처리한 결과 녹은 납이 칩의 끝
부분
으로 부터 관모양으로 흡수되는 것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다. 이 새로운 물질현상은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과학잡지 '네이처' 최근호에 발표됐다.나노칩이 모세관현상으로 액체를 빨이들이는 것은 지난해 ... ...
도스를 대신하는 유틸리티 피시셸(PC SHELL)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컴퓨터 사용은 용이해진다. 컴퓨터를 켜서 응용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
부분
유틸리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피시셸은 도스는 물론 모든 유틸리티를 내부에 통합할 수 있는 포용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피시셸의 기능을 잘 알아두는 것은 컴퓨터를 쉽고 편하게 쓸 수 있는 ... ...
25년만에 모습 드러낸 인왕산의 지형·지질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흐르는 물이 수분에 약한 장석을 주변보다 빨리 용해시켜 홈통처럼 움푹 판
부분
을 말한다.치마바위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판상의 사절리로 인한 매끈한 40°경사의 암벽과 치마폭 주름살 모양의 유수구의 발달이라고 할 수 있다.화강암 지형에는 돌기둥인 암주와 다양한 형태의 타원형 암괴인 ... ...
별이 흔들리고 달이 이글거리는 이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관측대상을 정하여 관측을 해야만 한다. 더욱이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변화 이외의 대
부분
천문현상은 되풀이 되지 않으므로 이번 관측이 마지막이라는 생각으로 모든 순간을 소중히 관측해야 한다.2. 관측대상에 대해 알고있는 사전지식과 정보는?관측대상을 정했으면 사전에 그에 대해 충분히 ... ...
생태계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그러나 이들이 생태계를 통해 아마추어 과학의 진미를 느끼는
부분
은 자연의 일부를 정확히 아는 것 외에 전국 곳곳을 두루 답사할 수 있는 것을 제일 큰 강점으로 꼽는다. 경치 좋은 곳을 찾다보면 스트레스 해소는 물론 육신을 위한 운동도 저절로 겸하게 되기 때문이다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제공할 수도 있겠지요."-외부적으로 나타나는 가시적인 성과는 어떻습니까."사실 그
부분
이 천문학 연구기관의 딜레마입니다. 91년의 연구소 평가 때도 연구성과가 문제가 됐으니까요. 천문대는 다른 연구소와는 달리 첨단과학기술의 결과물들을 쏟아내지 못합니다. 오히려 망원경이나 여러 ... ...
대한해협의 해양자원도 조사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흔들리는 배 위에서 열린 좌담회에서는 해양연구의 어려움과 학교교육에서 해양
부분
의 부실함 등이 주로 지적됐다. 육지에 발을 딛는 순간 "먼 항해 끝에 땅의 고마움을 안다"는 뱃사람들의 경구가 문득 떠올랐다 ... ...
이전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6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