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8,360건 검색되었습니다.
⑤ 한국천문학의 미래를 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절대로 1/18000° 이상 멀어지지 않는 완전 자동추적장치가 부착돼 있다.이 망원경은 각
부분
별로 프랑스의 여러 유수한 회사에 의해 현재 제작이 진행되고 있으며, 금년 9월 우리나라에 들여와 10월에 보현산 정상에 설치될 예정이다. 이 망원경의 주요 관측장비로는 중분산분광기 천체사진기 CCD카메라 ... ...
봄바람과 더불어 기지개 켜는 바람꽃의 일생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보니 잎은 자루가 길고 심장형이며 크게 세개로 갈라진 다음 다시 잘게 갈라져 있다.윗
부분
에 잎처럼 생긴 총포잎(화서 전체의 기부를 싸고 있는 잎)이 세개씩 두루 달려 있고 그 중앙에서 5, 6개의 꽃대가 산형으로 퍼진다. 이 꽃대 끝에 흰꽃이 한개씩 달려 있는데 이 꽃의 이름은 바람꽃이다. 대개 ... ...
초고속선 개발 경쟁시대 왔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추진성능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고속 예인수조가 필요하다. 현재 초고속선을 개발중인 대
부분
의 선진국에서는 고속 예인 수조시설을 갖춘 연구소가 1곳 이상씩 있다.일본에서는 정부의 지원아래 대형 7대 조선소가 연구조합을 결성해 개발중에 있다. 이미 조선산업이 사양화된 미국과 유럽의 ... ...
사람을 삼키는 비누방울과 네모난 비누방울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이루는 비누막은 액체와 기체가 만드는 경계면이라서 대단히 불안정합니다. 이 불안정한
부분
을 최소한으로 줄여야만 안정된 구조가 되는 것이랍니다. 둥그런 비누막 뜨개에서처럼 비누막이 만들어질 때 방해하는 것이 없다면 가장 역학적으로 안정한 구형이 됩니다. 그러나 육면체의 비누막 ... ...
독특한 삶 속에서도 빛나는 업적 남긴 20세기초 수학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별로 유명하지 않은 프랑스 장군들의 이름이 붙여졌다.그리고 아주 교묘하게 틀린
부분
을 삽입해 놓고는 신입생들의 반응을 지켜 보았다. 이 전통의 영향으로 몇몇 에콜 노르말 졸업생들이 만든 수학연구그룹이 부르바키그룹으로 발전될 때 그룹이름을 프랑스의 잘 아려지지 않은 19세기에 활동한 ... ...
"해양연구의 중요성 실감"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내용은 우리나라 자료가 아니라 출처를 알 수 없는 것이 등장합니다. 해양연구소에서
부분
적으로라도 측정자료를 공개한다면 아이들에게 우리 현실을 가르칠 수 있어 훨씬 생생한 교육이 되겠는데요.이재혁:주최측에서도 처음 실시하는 해양탐사이니 만큼 사전준비가 부족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
컴퓨터의사는 명의인가, 돌팔이인가?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위치를 정확히 이야기하기가 어렵다. 어떤 면에서 보면 상당한 발전이 있으나 또 어떤
부분
에서는 아주 느리게 발달하고 있다. 특히 일반인이 사용할 수 있는 진단 프로그램의 진보는 국내외 모두 저조한 실적을 보이고 있어 앞날을 낙관하기가 쉽지 않다. 질병의 진단이라는 것이 대단히 복합적이고 ... ...
② 독창적인 문화 깃든 제품 나와야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과거시대에 있을 때 부활한 베그저의 세포가 버뮤다해역에서 생체증식을 통해 지구를 한
부분
씩 붉게 물들이고 있다. 또 생체증식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준의 애인 연희를 포함한 많은 지구인을 생포해 간다. 복수에 나선 준의 활약을 그린 슈팅 게임. 다양한 스크롤 방식을 지원하며 다수의 ... ...
무공해 대체에너지 개발에 초점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thermovision)도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서머비전으로 건물의 외부를 체크하면 어느
부분
으로 열이 가장 많이 낭비되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제5실 '내일의 에너지'에서는 에너지 신기술과 대체에너지의 모습을 보여준다. 계곡낙차를 이용하는 소수력발전, 풍력 조력 지열발전, 발전효율을 높이면서(40 ... ...
남녀의 성차는 뇌의 기능차에서 비롯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곳으로 시각과 공간인지에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이처럼 정보를 좌우로 연결하는
부분
이 여성쪽이 크다는 것은 여성이 남성보다 정보를 밀도있게 교환한다는 의미. 이 사실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사물을 세밀하게 관찰하며 감정이 섬세하다는 가설을 입증해준다고 할 수 있다. 어쩌면 '여자는 ... ...
이전
693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