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
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내 유전자의 99%는 사람의 것이 아니다. 사람이 ‘사람처럼’ 살 수 있는 이유는 이로운
미생물
덕분이다.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은 세균 감염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치료제를 만들고 백신을 개발해 왔다. 동시에 세균을 이용해 빵이나 치즈, 술을 만들고 누에가 걸리는 감염질환을 예방해 풍부한 ... ...
세포 호흡과 ATP 합성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해당과정을 지속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 무엇인지 생각합니다. 예시답안 혐기성
미생물
이나 유기호흡과 무기호흡이 모두 가능한 생물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세포생장과 분열, 물질대사를 위한 에너지를 해당과정을 통해 얻는다. 해당과정은 산소가 없는 환경에서 가능한 대사경로로서, ... ...
대결! 위기의 지구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경우 음식물이 버려진 지역에만 유기물 농도가 높아져요. 그러면 이를 분해하기 위해
미생물
이 그 지역에만 몰리는 등 생태계에 불균형이 생긴답니다.나도 즐겁고 지구도 행복한 야외 놀이그럼 기왕 야외에 나왔으니, 선생님이나 친구들과 함께 할 수 있는 놀이를 몇 가지 알려 드리죠. 아직 지구에 ... ...
[cool tech] 내 방 안의 아쿠아리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방 안에 자연을 그대로 담고 있는 수조 하나를 놓아 보자. 수초와 물고기와 보이지 않은
미생물
이 어우러진 생태계의 매력에 흠뻑 젖을 수 있을 것이다 ... ...
1994년 제프리 프리드먼 교수의 렙틴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분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이제 남은 일은 한 가지. 인슐린처럼 렙틴의 유전자를
미생물
에 넣어 렙틴 단백질을 대량으로 얻으면 비만치료에 새 장이 열릴 것이다.렙틴의 상업화 연구는 미국의 생명공학회사 암젠(Amgen)이 떠맡았다. 암젠은 프리드먼 교수에게 2000만 달러(약 240억 원)를 지불하고 ... ...
첨단 융합기술의 산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등을 응용해 새로운 에너지 시스템을 개발한다. 바이오 에너지 분야에서는 동식물이나
미생물
로부터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을 발굴하고 실용화한다.화석연료를 탄소중립적인 친환경연료로 대체하고, 석유자원에 기반한 화학산업을 바이오매스에 기반한 바이오리파이너리(Biorefinery)로 전환하는 데 ... ...
한국 미라에는 ‘저주’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옷을 벗겨낼수록 8, 9로 증가했다. 염기성 상태로 미라가 보관돼 있었다는 의미다. 미라는
미생물
의 활동이 둔해지는 산성 환경에서 만들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결과는 기존 학설을 부정할 수 있는 의미를 담고 있어 연구진의 관심을 얻고 있다. 세균 조사 결과 역시 의미가 크다. 국내에서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것 같았거든. 깊은 바다에 사는 생물과 심해퇴적물, 쇄빙선 아라온 호와 바다 속
미생물
까지! 이제 바다 속을 탐험해 볼까?승빈 : 바다를 연구하는 박사님들이 바다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를 적어놓은 곳이야.예빈: 요즘 박사님들은 파래에서 바이오 연료를 뽑고 파도를 이용해 전기를 만드는 등 미래 ... ...
화성 생명체 살았던 물 흔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과거 화성에 물이 흐르고 생명체가 살았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물증’이 발견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존슨우주센터 리처드 모리스 박사와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스티븐 러 ... 미국 옐로스톤 국립공원의 간헐온천만 해도 극산성의 환경에 적응하도록 진화해온
미생물
이 살고 있다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물을 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그 자체가 자연 필터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내부에 사는
미생물
이 유기물을 분해해 주기도 한다. 따라서 모래를 퍼 올리면 당장 수질이 문제가 될 가능성이 있다.또 강바닥이 평평해져서 수생 생물이 피해를 입을 수 있다. 김정수 부소장은 “얕은 물과 깊은 물에 사는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