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할까. 행성을 지구처럼 개조한다면 생태계가 전히 바뀌어 토착생물은 멸종할 것이다.
미생물
수준의 생명이 이제 막 생기기 시작하는 단계라면 인류가 미처 생명이 있다는 사실을 미처 알아채지 못한 채 파괴할 수도 있다. 지구에서도 문제가 되는 환경 파괴를 우주까지 나가서 저지르는 셈이다. ... ...
세균과 수염을 함께 기르면 안 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여전히 병을 일으킬 만큼 위험한 수치였다.연구팀이 이런 실험을 하게 된 동기는 “동료
미생물
학자들이 수염을 제대로 깎지 않아, 위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워 주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한다.즐거우면 아픈 것도 잊는다?!천식을 치료하는 데 심리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밝히려고 천식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미 10~20%의 소금에 절여 발효시켜 둔 것으로 부패균과 싸워서 이긴 여러 가지 유익한
미생물
이 들어 있어 김치의 발효를 돕는다.특히 젓갈은 어패류의 근육 등에 들어 있는 물질들이 모여 감칠맛(deliciousness)을 한 층 높여 준다. 아미노산의 하나인 글루타민산의 염 형태인 글루탐산모노나트륨(MSG, ... ...
고분자나노재료학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크기 물질의 효용성과 그 응용에 대해 이해하는 과목을 배운다. 다양한 갈래의 생물학,
미생물
학, 생물공학 등을 수강하면 생물학적 혹은 의학적으로 고분자나노재료학을 응용할 수 있는 전문성을 기를 수 있다. 특히 고분자나노재료학의 연구에는 각종 실험에 사용되는 장비를 능숙하게 다루고 그 ... ...
박테리아의 성장패턴 수학으로 밝히다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생물학의 오래 연구 분야인 박테리아의 성장패턴을 수학으로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스코틀랜드의 에든버러대학교 연구팀은 박테리아의 성 ... 동심원 고리 모양으로 박테리아가 증식 한다는 것입니다.앞으로 이 수학 모형을 통해 다른
미생물
의 성장패턴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5600종의 신종이 추가됐지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생물종이 10만 종 이상 더 있을 것이며
미생물
까지 합치면 그 수는 수백만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태평양처럼 큰 대양은 제외하고 연안이나 얕은 바다 위주로 조사가 이뤄진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해양생물 센서스의 10년 탐구는 ... ...
쫄깃쫄깃 타피오카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잘게 분해한 포도당을 발효시켜 젖산을 얻은 다음, 중합과정을 거치면 생화학적으로
미생물
이 180일 이내에 분해할 수 있는 바이오플라스틱이 탄생한다. 아직까지는 재질이 단단하지 못하고 가격이 비싸다는 한계가 있다.밀과 옥수수처럼 카사바에서도 친환경에너지원인 바이오에탄올을 얻을 수 ... ...
이스라엘의 퀴리 부인 아다 요나트 박사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몰두하고 있습니다. 항생제는
미생물
이 만드는 화학물질로 된 약제인데, 세균 같은 다른
미생물
이 성장하는 걸 막거나 아예 죽이죠. 슈퍼박테리아는 기존 항생제가 잘 듣지 않는 무서운 세균이에요. 이를 물리치는 방법을 꼭 찾고 싶어요.앞으로 또 어떤 것을 연구할 계획인가요?앞으로 리보솜의 ... ...
[생물] 생물다양성과 우리 삶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새로운 유전자를 도입한 작물입니다. 이를 이용하면 살충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토양
미생물
이 갖고 있는 살충 효과를 내는 단백질을 작물에서 합성해 해충 저항성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2) 단일한 GMO작물의 재배면적 확대와 생물다양성을 연결하는 문제입니다.예시답안1) GMO작물 중에는 제초제 ... ...
생명의 타임캡슐 씨앗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자연상태에서 어떻게 싹이 틀 수 있는지 궁금하시다고요? 물론 쉬운 일은 아닙니다. 토양
미생물
로 과피가 약화되거나 물결에 따라 여기저기 휩쓸려 가고 돌이나 바위에 부딪치면서 과피가 깎여나가고 깨지면서 안으로 물이 스며들어 발아가 시작되는 것이죠. 따라서 연꽃 씨앗은 수년에서 수십 년,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