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 체온이 36.5℃인 수학적인 이유
수학동아
l
2011년 02호
막으면서 에너지를 가장 적게 쓴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지난해 11월 미국
미생물
학회의 저널 ‘엠바이오’에 실렸다.연구팀은 체온과 질량이 에너지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세균이 줄어드는 비율을 볼츠만 상수를 이용해 식으로 만들었다. 이 식에 따르면 ...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질량 분석 기술을 이용해 다른 분야에서도 성과를 올리고 있다. 지난 2005년에는 실험용
미생물
인 ‘예쁜꼬마선충’의 수명을 연장하는 페로몬인 ‘다우몬’을 발견해 화제가 됐다.연구진이 다우몬을 인공적으로 합성해 예쁜꼬마선충에 주입했더니 14일이던 수명이 140일로 10배나 늘어났다. ... ...
Part 2. 세포 구조 모방하는 미래 인터넷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지구 위의 인구가 평균 6명을 거치면 모두 친구라는 말은 바로 여기에서 비롯됐다.그런데
미생물
이나 세포의 신진대사망은 다르다. 적은 수의 물질들이 네트워크를 이루는 하등생명체부터 훨씬 많은 물질로 구성된 고등생명체까지 모든 노드(물질과 단백질)들이 신기하게도 평균 3번의 연결(링크 ... ...
미생물
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들어가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그러나 플라스크의 목 부분을 깨뜨리자 곧바로
미생물
이 성장하기 시작했다. 이후 독일의 로버트 코흐, 영국의 존 틴달 등의 추가연구를 통해 생물이 무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는 자연발생설은 영원히 폐기됐다 ... ...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과일이나 채소도 깨끗이 씻을 수 있다. 오존수로 매실을 세척하면 표면에 난 잔털 사이의
미생물
을 10% 정도만 씻을 수 있지만 마이크로 버블은 98%의 세균을 죽일 수 있다. ◀대구경북능금농협의 세척사과 브랜드 ‘껍질째 먹는 안심사과’. 오존수로 세척한 후 개별포장해 판매한다.마이크로 ... ...
Part 3. 외계생명체 탐사는 어떻게 바뀔까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심해의 열수구에서 광물질에 의존해 에너지를 얻으며 살아가는
미생물
의 존재는 목성의 위성인 유로파의 바다 속에 생명체가 살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 물론 이번 연구는 생명을 이루는 6대 원소를 대체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보다 훨씬 획기적이다.일부 과학자들은 현재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따라 흘러온 오염물질은 염생식물이 한 번 거르고, 그 찌꺼기를 갯벌에 사는 여러 생물과
미생물
이 깨끗이 분해한다.서해 5도 중 육지에 가장 가까이 있는 강화도의 갯벌은 한강으로부터 풍부한 흙을 공급받아 면적이 약 353km2에 달한다. 강화도 갯벌처럼 넓고 다양한 생명체를 부양할 수 있어 생태적 ... ...
[비소 박테리아 발견 외계생명체의 증거인가, 쇼인가] Part 1. 무엇이 비소 박테리아를 유명하게 만들었나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안에서 불안정한 분자를 만들거나 잘못된 화학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이성근 충북대
미생물
학과 교수는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지금까지 생명체의 범위를 너무 좁게 보고 있었다는 사실을 깨우쳐 준 대단한 발견”이라고 평가했다.비소의 불안정성 해결하는 메커니즘 필요해 울프-사이먼 ... ...
공항에서 소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흙에서도 얼마간 생존할 수 있다. 소독발판을 밟으면 소독제가 신발 밑바닥에 묻어 있는
미생물
을 어느 정도 없앨 수 있다. 이 소독발판은 우리나라에서만 볼 수 있다. 강성필 검역관은 “소독발판이 인천국제공항의 이미지를 해친다거나 미끄러워 넘어지기 쉽다는 불만도 있지만 전염병을 막기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놀랄 일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영숙 교수도 “비소가 많은 환경에 적응한 극한
미생물
의 일종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비소는 생명체를 이루기에 너무 불안정해생화학자들은 비소를 포함한 DNA나 RNA, 단백질이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 가능성에 회의적인 시선을 보내고 있다. 논문에서는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