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d라이브러리
"
미생물
"(으)로 총 1,58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온난화의 주범은
미생물
?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말했다.휴가트 교수는 “하지만 이 기후모델은 생태학적으로 더 연구해야 한다”며 “
미생물
이 내뿜는 온실가스를 과대평과한 것은 아닌지 알아볼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7월 13일자에 실렸다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른 어떤 생물보다 빠르게 증식하고 있다. 지구의 주인은 인간이 아니라 사실상
미생물
인 셈이다. 생물의 역사 전반을 이해하고, 동시에 생물과 인류의 ‘관계’를 다시 생각해 보고 싶은 독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DNA: 생명의 비밀 제임스 D. 왓슨 지음 | 이한음 옮김 | 까치글방 | 464쪽 | 2만 300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항균 성질을 이용해 만든다. 세포독성이 없으므로 여드름이나 무좀을 일으키는
미생물
을 죽이고 염증을 가라앉히는 기능성 화장품 제조가 가능하다.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항곰팡이 효과가 있어 농약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몸속
미생물
의 조성까지도 바꾸는 셈이다. 베렌바움 교수는 “우리는 벌의 몸속
미생물
이 무엇이며 먹이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모른다”며 “꿀벌의 생태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지는 미지수”라고 말했다. 단백질 생산을 막는 바이러스베렌바움 교수는 2009년 7월 유전자 마이크로어레이(DNA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있어야 한다. 여전히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비소 박테리아가 특이한 환경에 적응한 극한
미생물
이라고 생각한다.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후속 연구를 보여줄 수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연구팀이 비소 박테리아를 분양 받아 검증할 수 있을지 계속 지켜봐야 한다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나가는 탄소의 양을 줄여 준다. 자원을 재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음식물 쓰레기는
미생물
을 분해해 메탄가스로 쓸 수 있으며, 하수는 수력발전에 이용해 전기를 얻을 수 있다탄소 제로에 도전하는미래형 건물 2020년 월드컵이 열리는 카타르의 여름 평균 기온은 40℃. 카타르 경기장은 쾌적한 ... ...
고기 좋아하면 뱃속에 ‘육식
미생물
’ 자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쥐가 먹은것에 따라
미생물
종과 유전자 발현이 달랐다.페이스 박사는 “식습관에 따라
미생물
이 60% 이상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두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5월 20일 ‘사이언스’에 실렸다 ... ...
Part 1. "세계에서 가장 깨끗한 미라"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미라를 발굴하던 중 나무 관이 충격을 받았거나, 해포 과정에서 공기 중에 있던
미생물
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며 “그 전에는 무균상태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원 한 명이 미라를 꺼낸 관 속을 면봉으로 닦아 유리병에 넣고 있다. 미라의 보관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다.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같던 반죽이 야구공처럼 부풀었다.“우와! 선생님, 이거 왜 커졌어요?”“효모라는
미생물
이 발효해서 풍선에 공기를 불어 넣듯이 빵 속에 공기를 넣어서 그래요.”선생님은 칠판에 그림을 그려가며 발효를 설명하기 시작했다. 아이들은 선생님의 말을 하나라도 잊어버릴까 열심히 받아 적는다. ... ...
우리가 버린 물 어디로 가나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물에서 나와 고스란히 고체 찌꺼기 형태로 분리된다.
미생물
이 분해한 유기물도
미생물
의 몸에 축적돼 함께 찌꺼기가 된다. 이런 찌꺼기를 ‘하수슬러지’라고 부른다. 일종의 농축 오염물인 셈이다. 하수슬러지는 따로 버릴 곳이 없다. 다른 폐기물과 마찬가지로 땅에 묻거나 태우거나 재활용하는 ... ...
이전
58
59
60
61
62
63
64
65
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