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본"(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끝났고 주변에서 질책하는 사람도 없었지만, 자긍심을 가지고 한 일이 잘 안됐을 경우엔 본인 스스로가 위축이 되죠. 과동 :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리호 발사를 준비하는 즐거움과 보람이 클 것 같아요. 특히 기억나는 순간이 있을까요? 장환 : 첫 연소시험이 아무래도 기억이 많이 나요. 처음이라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각도와 눈매, 얼굴의 주름으로 진짜 웃음과 가짜 웃음을 가려낼 수 있다는 이야기를 본 적이 있었다. 사진관에서는 웃으라고 하고 웃음을 찍으니까, 어떻게 보면 증명사진 속의 웃음은 가짜 웃음인 거였다. 하지만 이런저런 지우개질로 다듬어낸 외할머니의 사진 속 웃음은 진짜 같았다. 찍은 ... ...
- [여섯 번째 대멸종] 아직 희망이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UN은 10년 생태계 복원 계획의 일환으로 3억 5000만ha의 산림을 복원하기 위한 ‘본 챌린지’를 진행하고 있어요. 2030년까지 남한 영토의 36배의 산림이 복원될 예정이지요. 유엔식량농업기구(FAO)도 생태계 복원으로 땅을 살려 인류 먹거리 확보를 위해 노력할 거예요. 경제 성장을 우선하는 개도국은 ... ...
- [특집] 뇌를 흉내 낸 학습법, 딥러닝의 세 가지 비결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기계학습’이라고 합니다. 딥러닝은 바로 이 기계학습의 일종입니다.앞서 만화에서 본 것처럼 딥러닝은 ‘퍼셉트론’에서부터 시작됐습니다. 퍼셉트론은 뇌에 있는 신경세포인 뉴런과 비슷한 역할을 하는 인공 뉴런이에요. 아래 그림을 보면 뉴런에는 자극을 수용하는 돌기가 여러 개 있습니다. ... ...
- 이루다의 이루다 만 꿈, 대화형 AI의 미래는?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이준환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님은 2월 4일 온라인으로 열린 ‘이루다 사건으로 본 인공지능 거버넌스: AI의 일탈을 어떻게 막을 것인가?’ 좌담회에서 가장 먼저 ‘설명 가능한 AI’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루다는 수많은 대화 데이터를 이용해 단어와 문장을 학습했습니다. 그 결과 ...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십 년 간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습니다. 실제로 1956년 미나마타병이 집단 발병한 일본에서는 현재도 중금속 중독 질환과 오염된 토양에 대한 연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는 “지금은 가습기 살균제와 폐손상과의 인과관계에 주목하지만 폐는 인체의 중요한 면역기관이기도 하다”며 “제2의 ... ...
- [특집] 수학으로 살아남아라! 무인도의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무인도에서 7일을 버티며 미션을 모두 성공하면 ‘어수동’ 탐험 기자가 될 수 있는 기회를 드립니다!” 모험과 수학을 좋아하는 나조아, 정만아, 남도움이 이 기회를 놓칠 리 없어요. 수학과 함께라면 음식 나누기, 집 짓기도 문제없을 테니까요. 모두 외쳐! 무인도에서 살아남기도 역시 ‘매 ... ...
- [이달의 과학사] 1920년 2월 3일 ‘하임리히 요법’의 창시자 헨리 하임리히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많은 사람 앞에서 시연하면서도, 정작 헨리 하임리히 본인은 실제 상황에서 요법을 써본 적이 한 번도 없었어요. 패티 할머니의 목숨을 구한 그 순간이 처음이었던 거죠. 그후 반년도 지나지 않은 2016년 12월 17일, 헨리 하임리히는 96세로 세상을 떠났답니다. 용어정리* 기도 : 호흡할 때 공기가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원주율을 3으로 생각했습니다. 지름이 1cm인 원의 둘레를 펼쳤을 때 그 길이가 3cm라고 본 거죠. 당시에는 수레의 바퀴가 한번 굴렀을 때 정확히 얼마만큼 움직였을지 구하는 문제의 답이 부정확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입니다. 하지만 또 다른 문명의 발상지인 이집트는 달랐습니다. 기원전 1850년경 ... ...
- [이달의 우주 날씨] 수성 관측? 각도부터 알아야 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여러분, 하늘에서 수성을 발견한 적이 있나요? 수성은 관측하기 까다로운 행성이라서 본 사람이 적을 거예요. 수성을 보기 힘든 이유는 수성의 공전반지름 때문입니다. 태양계 첫 번째 행성인 수성의 공전반지름은 평균적으로 약 5800만km로, 지구의 3분의 1 정도입니다. 수성이나 금성과 같은 내행성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