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뉴스
"
식별
"(으)로 총 726건 검색되었습니다.
드라마 ‘냄새를 보는 소녀’, 냄새 정말 볼 수 있나
2015.04.24
잘 맡는 것으로 드러났다. 박찬규 건국대 동물생명학과 교수는 “후각 능력은 냄새
식별
능력, 냄새에 대한 민감도 등 복합적으로 결정되는 만큼 냄새의 종류나 후각 수용체 유전자 수만으로 판단하기는 힘들다”면서도 “드라마 설정상 주인공은 개 이상의 후각 능력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 ...
PDF문서에 숨은 개인정보, 클릭 한 번에 지우세요
2015.04.08
KISTI) 제공 흔히 ‘PDF 포맷’이라고 부르는 전자문서에 담긴 개인정보를 자동으로
식별
하고 제거해 주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정보공개 시대를 맞아 다양한 정보를 주고 받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신용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R ... ...
55cm 물체도
식별
… 적외선 탐지기능 갖춘 ‘한국의 눈’ 우주 올랐다
2015.03.27
55cm 크기로 구분해 인식한다. 이 정도 해상도면 우주공간에서 지상에 사람이 서 있는지
식별
할 수 있다. 기존 위성에 비해 더욱 정밀한 영상을 얻기 위해 임무 궤도도 낮췄다. 아리랑3A호의 임무궤도는 528km로 685km에 자리 잡은 아리랑3호보다 100km 이상 낮다. 그만큼 지구를 도는 속도도 빨라지기 ... ...
위조 불가능한 ‘인공 미세지문’ 개발
2015.03.25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휴대용 현미경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으로도 인공 미세지문을
식별
할 수 있다”며 “3년 내 실용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우주 한복판에서 벌어지는 ‘주파수 전쟁’
2015.02.13
동원해도 375MHz가 한계였다. 결국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차선책을 짜냈다. 아리랑 3호의
식별
신호부터 주고받은 뒤 데이터를 집중적으로 수집하는 방식을 새로 개발했다. 인공위성이 사용할 주파수 부족 사태가 세계 각국의 ‘주파수 전쟁’으로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우주 상공 500km 아래 ... ...
손톱만한 실험실을 만드는 그녀
동아사이언스
l
2015.01.16
인정받는 학자가 되기를 바라면서…. UNIST-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 카페인 농도
식별
형광염료 및 카페인 자동 검출용 디스크 개발 (Scientific Reports, 2013) - 조윤경 교수 제공 ● 카페인 농도를 간편하게 측정하는 ‘카페인오렌지’ 커피 문화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언제부턴가 자신도 모르는 ... ...
“50㎝ 해상도 고성능 인공위성 국내기술로 개발”
2014.12.28
지상관측용 카메라 역시 독자 개발해 탑재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70㎝ 해상도로 지상을
식별
할 수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아리랑 3호’를 운영 중이지만 지상관측 카메라를 이스라엘에서 들여왔다. 정부는 이번 위성 개발을 민간기업에 적극적으로 협력해 우주산업 육성으로 연결할 계획이다. ... ...
나이 들면 공부하기 어려운 진짜 이유
2014.11.27
점들이 불규칙하게 움직일수록 노령 참가자들이 숫자와 글자를 인식하고 외우는 데 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 브라운대 제공 나이가 들면 머리가 굳어져 젊을 때만큼 공부하기가 쉽지 않다고들 말한다. 정말 그럴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노인이 공부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 이 ... ...
[채널A] 우리 위성, 평양 시내 차량 대수까지
식별
채널A
l
2014.11.19
아리랑 3호 등 모두 6기입니다. 이 위성들은 평양 시내의 작은 자동차 한 대까지도 또렷이
식별
해낸다고 합니다. 이영혜 기자입니다. [리포트] 개봉 12일 만에 5백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인터스텔라’에서도 지구는 우주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성으로 비쳐집니다. 우주에서 활동 중인 우리나라 ... ...
꼬리 달린 소행성 발견, 벌써 13번째
2014.11.12
발견했다고 11일 미국천문학회 행성과학분과 모임에서 발표했다. ‘62412’라는
식별
번호가 붙은 이 천체는 최근에 알려지기 시작한 활동적 소행성이라는 새로운 천체 중 하나로, 소행성 궤도를 돌고 있으면서도 혜성처럼 꼬리가 나타나는 특징을 지녔다. 꼬리는 태양풍에 의해 혜성에서 가스나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