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식
감식
구별
차별
인종차별
남녀 차별
이해
뉴스
"
식별
"(으)로 총 726건 검색되었습니다.
첩보위성 장착 가능한 고성능 우주 반사경 국내 독자 개발
2014.11.05
1m 크기의 반사경 개발에 성공했다. 이 반사경을 쓰면 200㎞ 상공에서 자동차 번호판을
식별
할 수 있는 고성능 카메라를 만들 수 있다. 우주용 반사경은 인공위성에 설치된 카메라가 지상을 또렷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빛을 반사해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조금이라도 일그러진 곳이 있으면 안 되므로 ... ...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베이스 ‘NDSL’ 검색 대폭 편해진다
2014.10.28
것으로, 과학기술과 관련해 논문이나 도서 등 각종 저술활동을 펴는 저자 전원에게
식별
데이터를 부여한 것을 말한다. 저자 전거데이터가 있으면 동명이인이 있더라도 원하는 저자의 논문만 실시간으로 검색할 수 있게 된다. KISTI는 새롭게 개발한 ‘링크드 오픈데이터(LOD·Linked Open Data)’의 ... ...
“태블릿PC에서 내 뇌가 보여요”
2014.08.08
활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사람들이 사용하는 휴대전화 주파수가 모두 같아도 고유
식별
코드가 있어 서로 혼선이 일어나지 않는다. 연구진은 적외선 감지기 각각에 전용 신호만 구분할 수 있는 스마트 센서를 달아 혼선을 막았다. 배 교수는 “의식 불명 환자의 뇌 기능을 검사하거나 수술 전 ... ...
국산 위성, 유럽 수출門 열다
과학동아
l
2014.06.16
카스티야 라만차’가 발주한 초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이다. 지상의 물체를 70cm 크기까지
식별
할 수 있어 상용 위성영상 사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원래 해상도는 1m지만 정보기술(IT)에 기반한 영상처리 시스템을 접목해 해상도를 끌어올렸다. 이 시스템은 2012년 ‘대한민국 10대 신기술’에 선정된 ... ...
[채널A] 첨단 수중음파탐지기 투입…희생자 시신 찾아낼까
채널A
l
2014.05.07
했습니다. 길이가 6m내외의 물체들이 확인됐기 때문에.. 길이 1.5m 물체의 정확한 모양을
식별
할 수 있기 때문에 유실된 시신이 있을 경우 포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 선박에 직접 장착해 사용하는 만큼 조류 때문에 무용지물이었던 게 로봇 '크랩스터'와 달리 특수 임무를 수행할 수 있을지 ... ...
제비가 인가(人家)에 집을 짓게 된 사연
2014.04.28
때 이를 알아보고 내다 버리는 비율을 조사했다. 평소 탁란 피해를 보고 있다면 아무래도
식별
력이 있을 것이다. 예상대로 둥지입구가 터널형이라 탁란을 모르고 지내는 흰털발제비(덴마크)와 귀제비(중국)의 경우 각각 10회와 26회 모두 뻐꾸기 알을 알아보지 못했다. 인가에 둥지를 틀어 역시 ... ...
한우 혈통, 스마트폰으로 찍으면 안다
과학동아
l
2014.04.14
기록관리 시스템’은 인공수정 현장에서 보증씨수소의 정액 번호와 암소의 개체
식별
번호를 휴대용 리더기로 인식한 뒤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증씨수소 정액이 담긴 스트로우 표면에 인쇄된 고유 바코드를 휴대용 리더기로 찍어 앱(app)으로 전송하면 국립축산과학원 ... ...
아리랑 2호, 말레이 실종기 잔해 추정 물체 포착
과학동아
l
2014.04.04
지속적으로 촬영할 예정이다. 아리랑 2호는 2006년 발사됐으며, 지상 1m 단위까지
식별
할 수 있다. 우리나라 다목적실용위성 3기는 노란 영역 안의 흰색과 녹색 선 지역을 촬영했으며, 붉은 영역이 추락 예측 장소이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
이게 바로 무인기의 세계
과학동아
l
2014.04.04
반사된 전파를 받아 영상을 만드는 합성개구레이더(SAR)를 비롯해 가시광선, 적외선을
식별
할 수 있는 센서가 모두 달려 있다. 지상에 있는 30cm 크기의 물체를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촘촘히 감시한다. 이와 함께 지상에서 움직이는 타깃만을 찾는 모드도 작동시킬 수 있어 더욱 위력적인 것으로 ... ...
시각장애인 가수 스티비 원더의 재능 발달 멈추지 않는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1
다른 주파수와 음의 높낮이를 구분하는 실험에서도 A그룹이 B그룹보다 더 잘 듣고 잘
식별
해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유아나 아동 시각장애인에게만 발생한다고 알려진 뇌의 적응 현상이 성인이 된 후에도 충분히 진행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해석했다. 즉, 시냅스의 연결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